신착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2008년도에 「한국어 동사 교육 연구 : 동사의 통사 및 의미 교육을 위한 패턴(pattern) 선정을 중심으로」라는 필자의 박사학위논문을 바탕으로 출간한 책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서문
들머리에 / ‘한국어 동사’의 중요성과 ‘패턴 학습’의 필요성

1부 논의와 이론: 패턴 중심의 동사 교육론
1. 검토: 기존의 동사 교육 관련 논의들
1.1. 문법 항목 교육론
1.2. 격 조사 교육론
1.3. 문형 교육론
1.4. 다의어 교육론
2. 왜 ‘패턴’인가?: 패턴의 개념과 효용
2.1. 패턴(pattern)의 개념과 역사
2.2. 패턴의 범위와 유사 개념어들
2.3. 패턴의 교육적 효용성
3. 탐색: 동사 패턴, 무엇을 어떻게 추출할 것인가?
3.1. 주요 동사의 선정을 위한 논의
3.2. 말뭉치의 관찰과 한국어 동사 패턴의 유형
3.3. 말뭉치의 가공과 활용
4. 수립: 교육용 동사 패턴,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
4.1. 패턴 선정을 위한 판단 기준
4.2. 통사 교육을 위한 패턴의 선정 원리
4.3. 의미 교육을 위한 패턴의 선정 원리
5. 결론
5.1. 요약과 정리
5.2. 남은 문제

제2부 응용: 동사 교육용 패턴의 목록
색인
1. ‘가다’
2. ‘가지다’, ‘갖다’
3. ‘걷다’ (발을 번갈아 떼어 옮기다)
4. ‘걸리다’ (매달리다)
5. ‘기다리다’
6. ‘끌다’
7. ‘끝나다’
8. ‘나가다’
9. ‘나누다’
10. ‘나다’ (바닥에서 솟아나다)
11. ‘나오다’
12. ‘나타나다’
13. ‘남다’
14. ‘낳다’
15. ‘내리다’
16. ‘넘다’
17. ‘넣다’
18. ‘놓다’
19. ‘느끼다’
20. ‘다니다’
21. ‘당하다’
22. ‘대하다’
23. ‘돌리다’ (‘돌다’의 사동사)
24. ‘돌아가다’
25. ‘돌아오다’
26. ‘두다’
27. ‘듣다’
28. ‘들다1’ (안으로~), ‘들다2’ (물건을~)
29. ‘들리다’ (‘듣다’의 피동사)
30. ‘들어가다’
31. ‘들어오다’
32. ‘따르다’ (뒤를 좇다)
33. ‘떠나다’
34. ‘떨어지다’
35. ‘마시다’
36. ‘만나다’
37. ‘만들다’
38. ‘말하다’
39. ‘맞다1’ (틀리지 않다), ‘맞다2’ (외부의 충격으로 해를 입다)
40. ‘맡다’ (책임을 지고 담당하다)
41. ‘먹다’
42. ‘모르다’
43. ‘모으다’
44. ‘묻다’ (대답이나 설명을 요구하다)
45. ‘미치다’ (닿거나 이르다)
46. ‘믿다’
47. ‘바꾸다’
48. ‘바라보다’
49. ‘받다’ (남이 주어 가지다)
50. ‘밝히다’
51. ‘배우다’
52. ‘보내다’
53. ‘보다’
54. ‘보이다’ (‘보다’의 피동사)
55. ‘부르다’ (오라고 하다)
56. ‘빠지다1’ (밖으로 나오다), ‘빠지다2’ (떨어지다)
57. ‘사다’
58. ‘살다’
59. ‘생각하다’
60. ‘생기다’
61. ‘서다’
62. ‘세우다’
63. ‘시작하다’
64. ‘쓰다1’ (글을~), ‘쓰다2’ (모자를~), ‘쓰다3’ (사용하다)
65. ‘앉다’
66. ‘알다’
67. ‘얻다’
68. ‘열다’
69. ‘열리다’ (‘열다’의 피동사)
70. ‘오다’
71. ‘오르다’
72. ‘올리다’
73. ‘울다’, ‘웃다’
74. ‘위하다’
75. ‘이루다’
76. ‘이르다’ (목적지에 닿다)
77. ‘일어나다’
78. ‘일으키다‘
79. ‘읽다’
80. ‘입다’
81. ‘잇다’
82. ‘잡다’
83. ‘주다’
84. ‘죽다’
85. ‘지나다’
86. ‘지내다’
87. ‘지키다’
88. ‘짓다’
89. ‘찾다’
90. ‘치다’ (때리다)
91. ‘타다’ (올라서 자리를 잡다)
92. ‘통하다’
93. ‘팔다’
94. ‘향하다’
95. ‘흐르다’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노래의 언어 : 유행가에서 길어 올린 우리말의 인문학 노래의 언어 : 유행가에서 길어 올린 우리말의 인문학 2018 / 지음: 한성우 / 어크로스
한국 자전의 해제와 목록 한국 자전의 해제와 목록 2016 / 지음: 박형익 / 역락
(김원중 교수의)고사성어 역사문화사전 (김원중 교수의)고사성어 역사문화사전 2014 / 김원중 편저 / 글항아리
(중국인을 위한)한국어 유의어 연구 (중국인을 위한)한국어 유의어 연구 2014 / 추육영 지음 / 박이정
한국 근대 신어의 유형과 특성 한국 근대 신어의 유형과 특성 2016 / 지음: 송찬섭 [외] / 역락
B끕언어 : 비속어, 세상에 딴지 걸다 B끕언어 : 비속어, 세상에 딴지 걸다 2013 / 지음: 권희린 / 네시간
21세기 우리말본 연구  = 21C Korean language study 21세기 우리말본 연구 = 21C Korean language study 2009 / 김승곤 지음 / 경진문화
한국어 동사 교육론 = Korean verb education : 패턴(pattern)을 통한 동사 교육의 이론과 응용 한국어 동사 교육론 = Korean verb education : 패턴(pattern)을 통한 동사 교육의 이론과 응용 2015 / 고경태 지음 / 한국문화사
(이민자를 위한)한국어와 한국문화, 기초 (이민자를 위한)한국어와 한국문화, 기초 2015 / 외 집필: 이정희 / 한국이민재단
한국 방언의 지리적 분포와 변화 한국 방언의 지리적 분포와 변화 2015 / 김경숙 지음 / 역락
상고중국어 음운체계와 한국어 어휘의 어원 상고중국어 음운체계와 한국어 어휘의 어원 2016 / 지음: 김태경 / 학고방
(북경대 대외한어중심 교수들이 만든)영화 7편으로 중국어 끝내기. 1 (북경대 대외한어중심 교수들이 만든)영화 7편으로 중국어 끝내기. 1 2012 / 편저: 조윤휘, 류효유 ; 편역: 염재웅 / 라이브중국어
(최단기간에 중국어회화를 완성할 수 있게 구성한)글로벌 중국어회화 (최단기간에 중국어회화를 완성할 수 있게 구성한)글로벌 중국어회화 2015 / 한원석 편저 / 법문북스
新 광동어 新 광동어 2016 / 이영규 편저 / 學古房
일본어의 態(Voice)와 복문 일본어의 態(Voice)와 복문 2015 / 천호재 지음 / 역락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살인자의 기억법 : 김영하 장편소설 살인자의 기억법 : 김영하 장편소설 2013 /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읽고 쓰기를 위한) 한국어 문법  : TOPIK을 위한 문법 (읽고 쓰기를 위한) 한국어 문법 : TOPIK을 위한 문법 2018 / 지은이: 이현희 ; 신호철 ; 이화진 ; 배현대 ; 김보경 ; 이은선 ; 유슬기 ; 김두희 / 한국문화사
한글 한글 2016 / 지음:홍윤표 / 세창
(교양 있는 10대를 위한) 우리말 문법 이야기  : 주시경 선생님이 국어 문법 16강 (교양 있는 10대를 위한) 우리말 문법 이야기 : 주시경 선생님이 국어 문법 16강 2013 / 최경봉 지음 / 이론과실천
한국어 술어명사문 문법 한국어 술어명사문 문법 2006 / 이병규 지음 / 한국문화사
(한국어 교사를 위한)한국어 문법 강의 (한국어 교사를 위한)한국어 문법 강의 2018 / 이승왕 지음 / 한국문화사
한국어교실 엿보기  : 교사용 지침서 초급 한국어교실 엿보기 : 교사용 지침서 초급 2013 / 한국어교육열린연구회 저 / 하우
한국어교실 엿보기  : 교사용 지침서 중급 한국어교실 엿보기 : 교사용 지침서 중급 2012 / 저자: 한국어교육열린연구회 / 하우
한국어의 문법 단위 한국어의 문법 단위 2015 / 유현경 ; 안예리 ; 손혜옥 ; 김민국 ; 전후민 ; 강계림 ; 이찬영 / 보고사
한국어의 시제와 상 한국어의 시제와 상 2001 / 이재성 지음 / 국학자료원
한국어 문법론 : 비교론적 관점에서 본 조사와 어미의 형태 통사론 한국어 문법론 : 비교론적 관점에서 본 조사와 어미의 형태 통사론 2003 / 목정수 지음 / 월인
영어와 한국어의 통사구조연구 영어와 한국어의 통사구조연구 2000 / 안희돈 원저 ; 강명윤 외역 / 경진문화사
한국어 쉽게 가르치기 한국어 쉽게 가르치기 2009 / 오승은 지음 / 랭기지플러스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말과 글을 살리는)문법의 힘 : 두고두고 찾아보는 한국어 사용 설명서 (말과 글을 살리는)문법의 힘 : 두고두고 찾아보는 한국어 사용 설명서 2016 / 지음: 정재윤 / 시대의창
(영어학자의 눈에 비친) 두 얼굴의 한국어 존대법 = Double-faced Korean honorification (영어학자의 눈에 비친) 두 얼굴의 한국어 존대법 = Double-faced Korean honorification 2020 / 지음: 김미경 / 소명출판
동사의 맛 : 교정의 숙수가 알뜰살뜰 차려 낸 우리말 움직씨 밥상 동사의 맛 : 교정의 숙수가 알뜰살뜰 차려 낸 우리말 움직씨 밥상 2016 / 지음: 김정선 / 유유
(글쓰기를 위한)4천만의 국어책 (글쓰기를 위한)4천만의 국어책 2008 / 이재성 지음 ; 이형진 그림 / 들녘
사건 발화상황 그리고 문장의미 사건 발화상황 그리고 문장의미 2012 / 임채훈 저 / 역락
(세상에서 가장 쉽고 재미있는)친절한 국어 문법: [큰글자도서] (세상에서 가장 쉽고 재미있는)친절한 국어 문법: [큰글자도서] 2018 / 지음: 김남미 / 나무의철학
글, 삶, 문법 = Text, life, grammar : 교양과 읽기, 쓰기로 통하는 문법 글, 삶, 문법 = Text, life, grammar : 교양과 읽기, 쓰기로 통하는 문법 2019 / 이삼형 외 지음 / 夏雨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문법. 1, 체계 편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문법. 1, 체계 편 2012 / 지음: 국립국어원 / 커뮤니케이션북스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문법. 2, 용법편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문법. 2, 용법편 2007 / 국립국어원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교양 있는 10대를 위한) 우리말 문법 이야기  : 주시경 선생님이 국어 문법 16강 (교양 있는 10대를 위한) 우리말 문법 이야기 : 주시경 선생님이 국어 문법 16강 2013 / 최경봉 지음 / 이론과실천
(중국인을 위한 알기 쉬운) 한국어 문법 100 = 面向中國人的 韓國語 語法 100 (중국인을 위한 알기 쉬운) 한국어 문법 100 = 面向中國人的 韓國語 語法 100 2010 / 김중섭 ; 방성원 ; 이정희 ; 조현용 공저 / 랭기지플러스
말이 인격이다  : 품격을 높이는 우리말 예절 말이 인격이다 : 품격을 높이는 우리말 예절 2009 / 조항범 지음 / 위즈덤하우스
한국어 용언부정문의 역사적 변화 한국어 용언부정문의 역사적 변화 2008 / 이지영 저 / 태학사
우리말 문법에 대한 궁금증 115가지 우리말 문법에 대한 궁금증 115가지 2010 / 고영근 편 / 박이정
한국어 의도성 표현의 교육 한국어 의도성 표현의 교육 2012 / 김서형 지음 / 한국문화사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