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하고 자급하는 마을을 위한 7인의 대담. ‘한 명의 아이를 온전히 키우기 위해서는 온 마을이 필요하다’라는 아프리카의 속담이 있다. 사회적 관계망이 파괴되어가는 우리 사회에서 대안으로 일어나기 시작한 마을에 대한 논의가 오래 지속되었다.
목차
서문│미지의 만남은 흥미롭다 / 하승우
마을 모임 1 누구를 위한 마을인가? 무시되어온 일터, 삶터, 무엇이 문제일까? 세상이 위험한데 마을은 안전할까? 하나된 마을, 과연 가능할까? 정치 없는 마을, 지속될 수 있을까?
마을 모임 2 마을이 안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누가 마을을 짓밟았을까? 마을의 탈정치화, 무엇이 문제일까? 누구를 위한 마을인가? 마을의 소소한 일들, 정말 제대로 알고 있을까? 주민으로 대우받지 못하는 사람들의 마을? 마을에는 무엇이 필요할까? 모두를 위한 마을은 없다?
마을 모임 3 마을의 관계망은 잘 만들어지고 있을까? 풀뿌리는 보수인가? 체제와 생활세계는 구분이 될까? 지역 활동가, 어떻게 성장할 수 있을까? 마을 단위의 공론장은 가능한가? 우리는 마을에서 서로 만나고 있는가?
마을 모임 4 우리가 생각하는 마을은 어떤 모습인가? 생산과 소비가 만나야 삶을 지킬 수 있다! 정치가 있어야 마을이 산다! 씨줄과 날줄이 엮여야 한다! 다름이 인정되어야 한다! 마을의 공공성이 중요하다! 소수자에게로 다가서는 연대가 중요하다! 공론장을 만들어라!
서가브라우징
저도 난민은 처음입니다만2019 / 지음: 박진숙 / 샘앤북스
조난자들 : 남과 북,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 이들에 관하여2018 / 지음: 주승현 / 생각의힘
난센여권 : 난민을 위한, 세상 어디에도 없는 여권 한 장2014 / 최소연 지음 ; 최소연, 최장원 사진 ; 한주예 번역 / 북노마드
환경사회학2015 / 구도완...[등]지음, 한국환경사회학회 엮음 / 한울
돌봄과 공생의 유가생태철학2017 / 지음: 김세정 / 소나무
깊은 마음의 생태학 = (An)Ecology of deep mind :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2014 / 지음: 김우창 / 김영사
지금 우리는 자연으로 간다 : 자연 결핍 장애를 극복하고 삶을 회복시키기 위하여2016 / 지음: 리처드 루브 ; 옮김: 류한원 / 목수책방
모두를 위한 마을은 없다 : 마을 만들기 사업에 던지는 질문2014 / 권단 ...[등]지음 / 삶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