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기호학과 <주역>의 관점을 통섭시켜서 정약용이 <주역>을 이해하는 관점을 해석하고 있다. 저자는 기호학과 <주역>의 접점을 찾기 위해 소쉬르, 퍼스, 모리스, 보드리야르, 그레마스 등의 서구 기호학자들의 이론과 <주역>의 통섭을 시도한다.
목차
책머리에
머리말
조감도
설계도
제1부 『주역』의 기호학적 독해
제1장 인류역사에서의 기호 사용의 기원
1. 고대 서구에서의 기호 사용의 기원
2. 고대 중국에서의 기호 사용의 기원
제2장 기호학과 『주역』의 관계
1. 『주역』의 기호학적 성격
2. 『주역』이 상징과 기호
3. 현대 기호학의 학문적 지형도와 『주역』
제3장 서구의 기호학과 『주역』의 통섭
1. 소쉬르의 이항관계로 본 『주역』
2. 퍼스의 삼항관계로 본 『주역』
3. 모리스의 화용론과 『주역』
4.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과 『주역』
제2부 다산역의 기호학적 체계
제1장 상의 기호학적 함의
1. 상의 정의
2. 아이콘과 미메시스
제2장 상과 의미
1. 「설괘전」의 물상
2. 상과 점의 관계
제3장 상의 철학적 해석
1. 내지덕의 괘정입상설에 대한 반박
2. 왕필의 득의망상설에 대한 반박
제4장 기호계의 모형구조
1. 상제의 계시
2. 시뮬레이션 모형
3. 기호계의 위계
4. 『주역』의 우주론
1) 역유태극易有太極
2) 태극새양의易有生兩儀
3) 양의생사상兩儀生四象
4) 사상생팔과四象生八卦
제3부 다산역의 해석방법론
제1장 『주역』의 독법
1. 환원: 복서와 의리
2. 복원: 생활세계의 재구성
제2장 독역요지
1. 열여덟 개의 해석규칙
2. 영물詠物: 상징과 비유
3. 인자認字: 자구의 훈고
1) 자의와 괘의의 구별
2) 자의
제3장 사대의리와 삼역지의
1. 추이
1) 추이의 의미
2) 14벽괘
3) 50연괘
4) 방이유취괘와 물이군분괘
5) 추이설의 내용
6) 추이설의 근거
7) 추이설의 실천윤리적 함의
2. 효변
1) 금약시의 발견
2) 획과 효의 구별
3) 노양과 노음
4) 추이설과 효변설의 결합
5) 잠화위아蠶化爲蛾와 조화위선蜡化爲蟬
6) 播性의 규칙
7) 유동留動의 규칙: 卦主의 경우
8) 단사의 해석
9) 용구와 용육
10) 점서례의 총계
11) 다효변의 경우
12) 하상지구법
13) 출토자료로 본 효변설
14) 효변설의 전승
3. 호체
1) 호체의 정의
2) 호체설의 전거
3) 호체설의 기원
4) 호체설의 역사적 전개
5) 호체찬성론자들의 논거
6) 호체반대론자들의 논거
7) 호체불가폐론
8) 호체법의 다양한 형태들
9) 양호의 점서례: 완안량의 임구入口
4. 물상
1) 「설괘전」의 등장
2) 「설괘전」위작설에 대한 반론
3) 물상의 보완
5. 삼역지의
1) 교역交易
2) 變易
3) 反易
4) 삼역설三易設의 의의
제4부 다산역의 서사기호학
제1장 『주역』의 서사기호학적 접근
1. 그레마스의 서사기호학과 『주역』
2. 해사: 역사의미구조
제2장 다산역의 스토리텔링
1. 망국의 슬픈 역사
2. 용의 메타모르포시스
1) 잠룡潛龍
2) 헌룡見龍
3) 약룡躍龍
4) 비룡飛龍
5) 항룡亢龍
6) 신룡神龍
7) 전룡戰龍
3. 고대 중국의 군사제도와 전쟁
1) 사괘
2) 매복전술
3) 기만전술
4) 정길征吉과 정흉征凶
5) 패전敗戰
6) 역사 속의 전쟁
4. 물극필반과 흥망성쇠
1) 무평불피无平不陂와 无往不復
2) 풍괘 상육
3) 위기의 대비
5. 천문과 지리
1) 역여천지준易輿天地準
2) 천문
3) 지리
4) 『역』과 방위
끝맺는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