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기호학과 <주역>의 관점을 통섭시켜서 정약용이 <주역>을 이해하는 관점을 해석하고 있다. 저자는 기호학과 <주역>의 접점을 찾기 위해 소쉬르, 퍼스, 모리스, 보드리야르, 그레마스 등의 서구 기호학자들의 이론과 <주역>의 통섭을 시도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책머리에
머리말
조감도
설계도

제1부 『주역』의 기호학적 독해
제1장 인류역사에서의 기호 사용의 기원
1. 고대 서구에서의 기호 사용의 기원
2. 고대 중국에서의 기호 사용의 기원
제2장 기호학과 『주역』의 관계
1. 『주역』의 기호학적 성격
2. 『주역』이 상징과 기호
3. 현대 기호학의 학문적 지형도와 『주역』
제3장 서구의 기호학과 『주역』의 통섭
1. 소쉬르의 이항관계로 본 『주역』
2. 퍼스의 삼항관계로 본 『주역』
3. 모리스의 화용론과 『주역』
4.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과 『주역』

제2부 다산역의 기호학적 체계
제1장 상의 기호학적 함의
1. 상의 정의
2. 아이콘과 미메시스
제2장 상과 의미
1. 「설괘전」의 물상
2. 상과 점의 관계
제3장 상의 철학적 해석
1. 내지덕의 괘정입상설에 대한 반박
2. 왕필의 득의망상설에 대한 반박
제4장 기호계의 모형구조
1. 상제의 계시
2. 시뮬레이션 모형
3. 기호계의 위계
4. 『주역』의 우주론
1) 역유태극易有太極
2) 태극새양의易有生兩儀
3) 양의생사상兩儀生四象
4) 사상생팔과四象生八卦

제3부 다산역의 해석방법론
제1장 『주역』의 독법
1. 환원: 복서와 의리
2. 복원: 생활세계의 재구성
제2장 독역요지
1. 열여덟 개의 해석규칙
2. 영물詠物: 상징과 비유
3. 인자認字: 자구의 훈고
1) 자의와 괘의의 구별
2) 자의
제3장 사대의리와 삼역지의
1. 추이
1) 추이의 의미
2) 14벽괘
3) 50연괘
4) 방이유취괘와 물이군분괘
5) 추이설의 내용
6) 추이설의 근거
7) 추이설의 실천윤리적 함의
2. 효변
1) 금약시의 발견
2) 획과 효의 구별
3) 노양과 노음
4) 추이설과 효변설의 결합
5) 잠화위아蠶化爲蛾와 조화위선蜡化爲蟬
6) 播性의 규칙
7) 유동留動의 규칙: 卦主의 경우
8) 단사의 해석
9) 용구와 용육
10) 점서례의 총계
11) 다효변의 경우
12) 하상지구법
13) 출토자료로 본 효변설
14) 효변설의 전승
3. 호체
1) 호체의 정의
2) 호체설의 전거
3) 호체설의 기원
4) 호체설의 역사적 전개
5) 호체찬성론자들의 논거
6) 호체반대론자들의 논거
7) 호체불가폐론
8) 호체법의 다양한 형태들
9) 양호의 점서례: 완안량의 임구入口
4. 물상
1) 「설괘전」의 등장
2) 「설괘전」위작설에 대한 반론
3) 물상의 보완
5. 삼역지의
1) 교역交易
2) 變易
3) 反易
4) 삼역설三易設의 의의

제4부 다산역의 서사기호학
제1장 『주역』의 서사기호학적 접근
1. 그레마스의 서사기호학과 『주역』
2. 해사: 역사의미구조
제2장 다산역의 스토리텔링
1. 망국의 슬픈 역사
2. 용의 메타모르포시스
1) 잠룡潛龍
2) 헌룡見龍
3) 약룡躍龍
4) 비룡飛龍
5) 항룡亢龍
6) 신룡神龍
7) 전룡戰龍
3. 고대 중국의 군사제도와 전쟁
1) 사괘
2) 매복전술
3) 기만전술
4) 정길征吉과 정흉征凶
5) 패전敗戰
6) 역사 속의 전쟁
4. 물극필반과 흥망성쇠
1) 무평불피无平不陂와 无往不復
2) 풍괘 상육
3) 위기의 대비
5. 천문과 지리
1) 역여천지준易輿天地準
2) 천문
3) 지리
4) 『역』과 방위

끝맺는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다산학을 말하다. 1, 다산의 마음을 찾아 다산학을 말하다. 1, 다산의 마음을 찾아 2023 / 지음: 박석무 / 현암사
다산학을 말하다. 2, 다산의 생각을 따라 다산학을 말하다. 2, 다산의 생각을 따라 2023 / 지음: 박석무 / 현암사
북학의 북학의 2011 / 박제가 지음 ; 이익성 옮김 / 을유문화사
쉽게 읽는 북학의 : 조선의 개혁·개방을 외친 북학 사상의 정수 쉽게 읽는 북학의 : 조선의 개혁·개방을 외친 북학 사상의 정수 2014 / 박제가 지음 ; 안대회 엮고 옮김 / 돌베개
쉽게 읽는 북학의 : 조선의 개혁·개방을 외친 북학 사상의 정수 쉽게 읽는 북학의 : 조선의 개혁·개방을 외친 북학 사상의 정수 2014 / 박제가 지음 ; 안대회 엮고 옮김 / 돌베개
범애와 평등  : 홍대용의 사회사상 범애와 평등 : 홍대용의 사회사상 2013 / 박희병 지음 / 돌베개
운화와 근대 : 최한기 사상에 대한 음미 운화와 근대 : 최한기 사상에 대한 음미 2003 / 박희병 지음 / 돌베개
다산 정약용의 주역사전 기호학으로 읽다 다산 정약용의 주역사전 기호학으로 읽다 2014 / 방인 지음 / 예문서원
추사의 마지막 편지, 나를 닮고 싶은 너에게 : 삶·사람·사물을 대하는 김정희의 지혜 추사의 마지막 편지, 나를 닮고 싶은 너에게 : 삶·사람·사물을 대하는 김정희의 지혜 2013 / 설흔 지음 / 위즈덤하우스
추사의 마지막 편지, 나를 닮고 싶은 너에게 : 삶·사람·사물을 대하는 김정희의 지혜 추사의 마지막 편지, 나를 닮고 싶은 너에게 : 삶·사람·사물을 대하는 김정희의 지혜 2013 / 설흔 지음 / 위즈덤하우스
세계사 속의 다산학 : 실학의 집대성에서 동서문화의 통합으로 세계사 속의 다산학 : 실학의 집대성에서 동서문화의 통합으로 2021 / 공저: 김영호, 리민, 미야지마 히로시, 차이쩐펑, 김문식, 김선희, 김현, 김호, 노지현, 방인, 송재윤, 심경호, 임재규, 정민, 정순우, 조성을, 한형조, 린쭝쥔, 왕치파, 나카 스미오 / 지식산업사
순암 안정복의 일상과 이택재 장서 순암 안정복의 일상과 이택재 장서 2013 / 김현영 ; 이혜은 ; 김효경 ; 안병걸 ; 전경목 ; 박한남 ; 김경숙 ; 안승준 ; 탁신희 지음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순암 안정복의 학문과 사상  : 순암선생 탄신 30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순암 안정복의 학문과 사상 : 순암선생 탄신 30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2013 / 임형택 ; 가와하라 히데키 ; 금장태 ; 문석윤 ; 정선모 ; 원재린 ; 오항녕 ; 유국충 ; 조성을 ; 함영대 지음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박지원 박제가 새로운 길을 찾다 박지원 박제가 새로운 길을 찾다 2006 / 송재소 등저 / 경기문화재단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 개혁을 열망했던 조선 지식인들이 꿈꾼 나라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 개혁을 열망했던 조선 지식인들이 꿈꾼 나라 2018 / 지음: 정성희 외 / 실학박물관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주역계사 강의 주역계사 강의 2013 / 남회근 지음 ; 신원봉 옮김 / 부키
오퍼레이션 페이퍼클립 오퍼레이션 페이퍼클립 2016 / 글: 애니 제이콥슨 ; 옮김: 이동훈 / 인벤션
불씨잡변  : 조선의 기획자 정도전의 사상혁명 불씨잡변 : 조선의 기획자 정도전의 사상혁명 2013 / 정도전 저 ; 김병환 역해 / 아카넷
중국 사상 문화 사전 중국 사상 문화 사전 2011 / 미조구치 유조 ; 마루야마 마쓰유키 ; 이케다 도모히사 엮음 ; 김석근 ; 김용천 ; 박규태 옮김 / 책과함께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1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1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