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석의 두번째 평론집. 6년 만에 펴내는 이번 평론집은 ‘민족문학’의 유산을 발전적으로 계승하면서 남과 북, 동아시아와 세계문학을 아우르는 폭넓은 지평 속에서 한국문학의 성취와 과제를 가늠하는 치열한 비평의 분투를 보여주는 노작이다.
목차
책머리에
서장 민족문학, 한국문학, 87년 체제 - 단장(斷章)들
제1부 시와 정치, 그리고 시 읽기 참여시 재론 '용산'을 시로 쓰는 일 오늘의 '분단시'에 관한 단상들 랑시에르 미학의 도전 - 시론의 새로운 모색 공통감각과 시 - ‘미래파’ 이후 박영근에 관한 기억
제2부 역주행의 시대, 한국소설의 분투 장르의 경계와 오늘의 한국문학 장르서사가 진화한 현장들 - 장르의 경계와 오늘의 한국문학 2 역사, 역사해석, 그리고 역사소설 - 200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소설의 고투, 마중물로서의 비평 '엄마'의 시대적 진실을 찾아서 - 『엄마를 부탁해』론 김소진과 1990년대
제3부 세계문학과 한반도 '세계문학'의 개념들 - 한반도적 시각의 확보를 위하여 동아시아의 식민지근대와 지역문학의 가능성 세계체재의 (반)주변부와 근대소설 - (식민지)근대와 소설의 대응 세계문학의 역사적 조건에 관하여 - 19세기 미국문학의 ‘르네상스’
발표지면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조명희와 선봉2005 / 우정권 편 / 역락
나무의 수사학2018 / 지음: 우찬제 / 문학과지성사
나무의 수사학2018 / 지음: 우찬제 / 문학과지성사
동화와 어린이 : 원종찬 평론집2007 / 원종찬 지음 / 창비
동화와 어린이 : 원종찬 평론집2007 / 원종찬 지음 / 창비
북한의 아동문학 : 주체문학에 이르는 도정2012 / 원종찬 지음 / 청동거울
근대성과 한국문학 연구2002 / 유임하 저 / 이회문화사
한국문학의 최전선과 세계문학 : 유희석 평론집2013 / 지은이: 유희석 / 창비
식민지 국민문학론2006 / 윤대석 / 역락
대합실의 추억2007 / 이경훈 [지음] / 문학동네
대합실의 추억2007 / 이경훈 [지음] / 문학동네
바벨의 후예들 폐허를 걷다2006 / 이경수 지음 / 서정시학
역사의 일요일, 역사 이후의 일요일 = The sunday of history, the sunday after history : 식민지의 근대문학2018 / 지음: 이경훈 / 소명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