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자의 유럽 견문록. 영남대학교 철학과의 최재목 교수가 1년 동안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핀란드, 노르웨이, 체코, 헝가리 등 유럽 14개국을 여행하면서 자유롭게 사유를 펼친 ‘유랑 인문학’의 기록이다.
목차
프롤로그
1 낯선 땅에서의 소요유逍遙遊, 그 시작 ― 네덜란드 레이던 2 평지平地와 지평地平에 대한 묵상 ― 네덜란드 잔세스칸스 3 포플러 나무 앞에서 ‘기획된 풍경’을 회상하다 ― 네덜란드 레이던 4 로마에서 고전의 본질을 묻다 ― 이탈리아 로마 5 종말의 잔해를 가로지르며 ― 이탈리아 폼페이 6 사람보다 자연과 상상력의 밀도가 높은 북유럽 ― 덴마크 코펜하겐·노르웨이 오슬로·스웨덴 스톡홀름 7 루돌프의 빨간 코에서 레드 콤플렉스를 떠올리다 ― 핀란드 헬싱키 8 중세의 고풍古風을 간직한, ‘고향 없는 자’들의 도시 ― 체코 프라하 9 적들과 공생해온, 작지만 잘사는 나라 ―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10 다뉴브 강의 잔물결, 썼다가 지울 이름들 ― 헝가리 부다페스트 11 베르메르의 〈델프트 풍경〉을 찾아서 ― 네덜란드 덴하그·델프트 12 클림트의 그림 속 세기말 빈 ― 오스트리아 빈 13 그립고도 낯선 빛과 하늘, 그리고 튤립 ― 네덜란드 레이던·큐켄호프 14 유럽의 산과 물을 바라보며 ― 스위스 융프라우요흐 15 비단 물결 꽃 물결이 쌓고 허무는 항구 ― 이탈리아 베네치아 16 중세의 고요에 기댄 꽃들을 찾아가다 ― 벨기에 오스텐도·브뤼헤 17 다이아몬드의 도시에서 인간의 욕망을 생각하다 ― 벨기에 안트베르펜 18 작아도 당당한 ‘남자의 물건’ ― 벨기에 브뤼셀 19 바람기가 낳은 ‘인문학의 대장부’ 에라스무스 ― 네덜란드 로테르담 20 몽테뉴의 《수상록》, 빈센트의 유랑 같은 센 강 물결 ― 프랑스 파리 21 어떻게 과거를 상상하고 미래를 기억할까 ― 독일 베를린 22 에델바이스와 하이디, 그리고 니체 ― 스위스 루체른 23 ‘생사일념’에서 ‘개관사정’으로 생각은 천리를 달리고 ― 스위스 루체른·취리히 24 괴테의 시심詩心, 세계와 영혼이 ‘하나’ 되는 곳에서 일어나다 ― 독일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25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 속을 거닐다 ― 이탈리아 로마 26 지금 나의 학문은 어떤 전망을 갖는가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덴하그
주
서가브라우징
철학의 이단자들 : 서양근대철학의 경이롭고 위험한 탄생2019 / 글 :스티븐 내들러 ; 그림: 벤 내들러 ; 옮김: 이혁주 / 창비
유토피아 : 모두가 행복할 수 있다는 즐거운 상상2008 / 토마스 모어 지음 ; 정순미 풀어씀 / 풀빛
서양근대철학의 열가지 쟁점2004 / 서양근대철학회 지음 / 창비
자유의 발명 1700~1789 ; 1789 이성의 상징2018 / 지음: 장 스타로뱅스키 ; 옮김: 이충훈 / 문학동네
인간의 조건2008 / 한나 아렌트 지음 ; 이진우, 태정호 옮김 / 한길사
생각하는 삶을 위한 철학의 역사2016 / 지음: 나이절 워버턴 ; 옮김: 이신철 / 에코리브르
현대성과 자기보존욕망 : 홉즈에서 들뢰즈까지 = Modernity and desire of self-preservation : from Hobbes to Deleuze 2020 / 지음: 정미라 / 한국문화사
동양철학자, 유럽을 거닐다 : 최재목 교수의 유랑·상상·인문학2013 / 지은이: 최재목 / 책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