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 부르주아를 위한 인문학은 없다
1부_ 인문독서 후기
1. 칸트의 역사철학_ 칸트와 공화주의
2. 신자유주의는 나쁘다, 참여민주주의는 더 나쁘다_ 한나 아렌트와 그 유사품들
3. 진리의 주체와 알랭 바디우_ 바디우 독서후기
4. 『젠더 트러블』_ 포스트모던 페미니즘과 성차의 진리
5. 헤게모니 전략과 냉소주의 전략_ 라클라우와 문제들
6. 라캉주의 정신분석과 정치_ 『세미나 11』 독서후기
7. 들뢰즈의 사도 매저키즘_ 악덕의 윤리적 정초
8. 법치주의를 위하여_ 「폭력 비판을 위하여」 독서후기
9. 랑시에르와 민주주의_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 독서후기
2부_ 문화비평
1. 88만원 세대, 박민규, 그리고 무라카미 하루키_ 세대론의 풍경과 그 정치적 부침
2. 하루키와 사도 바울_ 『상실의 시대』에 대한 비판적 독서
3. 비평은 작품의 괴사(壞死)다_ 발터 벤야민과 비평가의 포지션
4. 비평의 오타쿠화를 경계하며_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독서후기
5. 왜 한국문학은 재미 없는가_ 문학과 사회성
6. 배트맨 다크나이트_ 진정한 할리웃 칸트주의
3부_ 인문적 사유
1. 삐리리 불아봐 해체주의_ 이웃 블로거 '람혼' 독서후기
2. 근대문학의 종언과 학생운동의 종언_ 종언의 정치적 귀결
3. 기표의 용법_ 고유명과 정치
4. 주체, 구조, 그리고 반복강박_ 주체성의 이론적 가능성
5. 칸트의 유물론_ 칸트 이후 근대의 존재론적 배치
4부_ 시사비평
1. 우리는 좀 더 가난해져도 좋다!_ 88만원 세대 독서후기
2. 레닌주의, 좌파정치의 진정한 교양_ 정치적 폭력과 좌파적 개입
3. 신자유주의와 인터넷의 정치적 주체성_ 20대의 정치적 자기 표상에 관하여
4. 그녀가 우리를 불편하게 한 이유_ 김예슬 대자보에 부쳐
5. 소위 말하는 학벌 드립에 관하여_ 학벌사회 비판과 정치적 올바름
6. 왜 아직도 김예슬인가_ 김예슬과 학생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