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유라시아 대륙에 흩어져 살고 있는 50만 고려인의 150년 역사를 개괄한 통사(通史)다. 필자는 이 책의 집필을 위해 지난 10년간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각국에 대한 10여 차례의 현지답사, 관계자 면담, 문헌연구 등에 많은 땀을 흘렸다.
목차
제1장 고려인과 연해주
Ⅰ 고려인은 누구인가
Ⅱ 연해주는 고려인의 고향
제2장 연해주 개척시대
Ⅰ 두만강 건너 신천지로
Ⅱ 고려인 3부류로 나눠 차별
Ⅲ 20세기 초 정착마을 32개
제3장 항일독립운동 기지로
Ⅰ 국권 회복·의병운동 앞장
Ⅱ 차르와 천황의 틈바귀에서
Ⅲ 권업회 결성, 민족혼 고취
제4장 혁명과 내전의 와중에서
Ⅰ 고려인 사회, 정치적 분화
Ⅱ 상해임정 참여 싸고 분열
Ⅲ 두 개의 고려공산당 대립
Ⅳ 4월참변과 자유시사건
Ⅴ 적군(赤軍)과 연대하여
제5장 소비에트 시대
Ⅰ 토지소유의 기대 컸지만
Ⅱ 강제이주 선행실험
Ⅲ 잠재력 지닌 민족공동체
제6장 ‘국가테러리즘의 극치’ 강제이주
Ⅰ 피의 전야제
Ⅱ ‘일본간첩’ 누명 씌워
Ⅲ 지도층 무더기 체포--공포 조성
<인터뷰> 강제이주 1년 전에 온 오청구
Ⅳ 중앙아시아행 ‘검은 상자’
Ⅴ 12월까지 18만 명 이송
제7장 한반도-서역(중앙아시아) 교류사 <고대·중세>
Ⅰ 서역은 한반도행 문화통로
Ⅱ 서역을 간 고대 한인들
제8장 고려인의 중앙아시아 진출 <강제이주 이전>
Ⅰ 1897년 24명 거주등록
Ⅱ 1920년대 유럽러시아지역 확산
<인터뷰> 최 류드밀라의 키르기스스탄 정착
Ⅲ 카자흐스탄 유배살이
제9장 중앙아시아 정착 <강제이주 이후>
Ⅰ 땅굴 파고 움막생활
Ⅱ 거주 제한, 내륙에 갇힌 포로
Ⅲ 60% 재배치, 이탈 성행
<인터뷰> ‘파란 눈의 고려인’ 니나 할머니
제10장 고려인과 2차 세계대전
Ⅰ 소련 승리 위해 헌신적 지원
Ⅱ 남자는 노동군 동원
Ⅲ 성공 신화(神話)를 쓰다
Ⅳ 북한 창건 전위대로
Ⅴ 교육·노동에 ‘올인’
제11장 스탈린 사망 후 넓어진 영역
Ⅰ 거주제한 해제, 정치참여 허용
Ⅱ 북한에선 숙청당하고
Ⅲ 고향의 그리움과 역사 복원
Ⅳ 도시 이주, 전문직 도전
<인터뷰> 최장수 각료 김 니키포르
Ⅴ 독창적 생존전략 고본질
<인터뷰> 고본질 백만장자 신 아나톨리
제12장 ‘역사의 미아’ 사할린 고려인
제13장 소련 붕괴와 그 파장
Ⅰ ‘전주곡’ 페레스트로이카
Ⅱ 고려인 탄압 죄과(罪過) 인정
Ⅲ 토착민 득세, 소수민족 차별
Ⅳ ‘꿈속의 꿈’ 고려인 자치주
제14장 고려인 다시 황야에
Ⅰ 역마살 타고 났나--재이주 물결
<인터뷰> 한국서 온 목사 류동수
Ⅱ 두 흐름--러시아행과 한국행
제15장 재기하는 고려인 <유라시아 2000년대>
Ⅰ 자영업에 몰려
<인터뷰> 도르도이의 또순이 윤 스베타
Ⅱ 카자흐스탄서 두각
Ⅲ 선거직 도전 활발
<인터뷰> 키르기스스탄 3선의원 신 로만
제16장 유라시아 고려인 분포 현황
<인터뷰> 탈영한 북한군 대위 출신 김수봉
총 50여만--러시아에 가장 많이 살아
Ⅰ 슬라브문화권
1, 러시아연방
① 모스크바·상트페테르부르크
② 사할린
③ 연해주
<인터뷰> 연해주로 이주한 최 니키타
④ 남부 지역
2, 우크라이나
3, 벨라루스
Ⅱ 이슬람 문화권
1, 우즈베키스탄
2, 카자흐스탄
3, 키르기스스탄
<인터뷰> 사할린에서 온 황용근
<인터뷰> ‘자유언론의 횃불’ 김 알렉산드르
4, 타지키스탄
<인터뷰> 후잔드로 역주행한 고 갈리나
5, 투르크메니스탄
Ⅲ 무국적 고려인
Ⅳ 한국 속의 고려인
1만여 명 취업
<인터뷰> 서울 고려인촌의 박 알렉산드르.
<인터뷰> 안산 땟골의 김 갈리나
<인터뷰> 고려인출신 주한대사 편(片) 위탈리
제17장 고려인의 문화·유산·정체성
Ⅰ 세시풍속과 생활문화
Ⅱ 무너진 집단농장
Ⅲ 고려일보·고려극장
Ⅳ 민족 정체성
맺는말 ; 왜 지금 고려인인가? 그들을 재조명한 이유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