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국제 생태계와 대외 전략
1장 세계 사회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세계사회
세계사회의 시작
세계사회형성의 원인
2장 세계사회의 주된 구성원
국가
국제조직
민간조직
3장 국제사회를 움직이는 세력들
국제세력
국제사회의 주된 세력
4장 무엇이 국제사회를 움직이게 하는가?
국가를 움직이게 하는 요인
국가의 대외관계를 제약하는 요인들
5장 생존을 위한 국가의 대외 전략들
군사동맹
세력균형정책
집단안전보장정책
중립 및 고립정책
동양의 전통적 전략 정책
국가 정책의 수단으로서 전쟁
6장 중심이 움직이는 국제사회
전체적인 상황
중국의 부상
아세아제국의 약진과 서구제국의 상대적 쇠퇴현상
안보위협 양상의 변화
이념 경쟁의 종식과 동질화 성향
제2부 한반도 생존 게임
1장 한반도와 주변 상황 신냉전의 징후
일본 침략행위의 잔재
냉전의 잔재와 신 냉전의 징후
경제적 세계화와 정치적 민족주의 기미
국제적 부상과 국가 간의 격차
2장 한국의 세계 참여와 성공
한국의 세계 사회 참여
세계 속의 한국의 위상
3장 한반도 상황에 변화는 있는가?
군사적 긴장의 지속
버리지 않는 북한의 대남 적화통일정책
북한의 대외적 움직임의 형태
한국의 북한 정책
한국의 북한에 대한 자세
4장 한국의 생존을 위협하는 북한핵무기 개발
북한핵무기 개발의 현 상태
북한 핵무기 개발 저지 노력
5장 북한 핵실험 강행과 대화의 단절
6장 북한 핵무기 개발 저지 노력에 대한 평가: 협상은 가능한가
전반적 평가
북한의 핵무기 개발의도와 협상의 목표
관련국들의 입장
해결방식의 재고
7장 한반도의 안정유지와 통일 문제
남북 간의 안정유지를 위한 장치 휴전협정과 평화 협정
남북관계의 관리
통일의 형태와 방식
강대국과 한국통일
통일여정상의 현재의 위치
8장 시련은 계속되고 있다
두 개의 생존 게임을 동시에 가져야 하는 한국
동맹과 자주 및 민족의 문제
이웃나라들과의 관계와 장래 한국의 선택
맺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