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의 노동시장 효과를 분석한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세계경제의 지역협력화와 어떤 관련성을 맺고 있는가를 고찰하고, 이것이 국제노동이동과 어떤 관련성을 맺고 있는가를 탐구하고, 기술변화와 고용의 상호작용 경로 분석을 통해 한미FTA와 최근 경제위기의 고용효과를 추정해 본다. 한미FTA가 국내 산업별 생산과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해 보고, 글로벌 추이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예상되는 한국 기업의 해외소싱(offshoring) 패턴과 노동시장 효과를 정리해 본다.
목차
머리말
서론 / 조준모
제1장 글로벌 금융위기, FTA와 국제적 노동이동: 역사적 조망 / 송병건 1.1. 들어가는 글: 글로벌 금융위기의 전개와 세계경제의 변화 1.1.1. 글로벌 위기의 발발과 전개 1.1.2. 경제위기 극복에 대한 전망 1.1.3. 현 금융위기와 보호무역주의적 경향 1.2. 글로벌 경제위기와 FTA 1.2.1. FTA 발달의 역사 1.2.2.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FTA의 새 동향 1.3. 국제적 노동이동 1.3.1. 1차 세계화와 노동이동 1.3.2. 전간기와 2차 대전 이후의 노동이동 1.3.3. 2차 세계화와 노동이동 1.3.4.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의 노동이동 1.4. 맺는 말 참고문헌
제2장 한미FTA와 기술진보 및 제조업부문 고용 변화 / 이상헌 2.1. 서론 2.2. 문헌연구: 기술수준과 기술격차 2.3. 맴퀴스트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2.4. 자료구성 2.5. 분석모형: 고용, 기술진보 및 수출입 학습효과 2.6. 실증분석 2.7. 한미FTA 및 최근 국제금융위기의 고용효과 2.7.1. 한미FTA의 고용효과 추계 2.7.2. 최근 국제금융위기의 고용효과 추계 2.8. 맺는 말 참고문헌
제3장 CGE 모형을 이용한 관세감축의 고용효과 / 이해춘 3.1. 서론 3.2. 한미FTA 협상과 대책 3.2.1. 한미FTA 협상 개요 3.2.2. 한미FTA의 주요 대책 3.3. 한미FTA에 관한 선행연구 3.4. 노동수요를 고려한 한국의 CGE 모형 3.4.1. 모형의 특성 3.4.2. 모형의 구조와 방정식 체계 3.4.3. CGE 모형의 운영체제 3.5. 자료의 구성과 산업분류 3.5.1. 사회회계행렬 3.5.2. 사회회계행렬 조정을 위한 RAS의 원리 3.6. 시뮬레이션과 분석 결과 3.6.1. 시나리오의 설정 3.6.2. 분석 결과 3.7.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 3.7.1. 연구의 결과 3.7.2. CGE 모형의 한계와 발전방향 참고문헌
제4장 해외소싱(offshoring)의 고용효과: 글로벌 추이와 한국에의 시사점 / 박상일 4.1. 서론 4.2. 해외소싱의 정의 4.3. 해외소싱의 동기와 글로벌 추이 4.3.1. 해외소싱의 동기 4.3.2. 해외소싱의 글로벌 추이 4.4. 해외소싱의 고용효과 4.4.1. 기업 차원의 미시적 고용효과 4.4.2. 산업 및 국가 차원의 거시적 고용효과 4.5. 한국에 대한 시사점 4.5.1. 한국 산업의 해외소싱 추이 4.5.2. 해외소싱의 노동시장 효과 4.6. 결론 참고문헌
결론: 연구 종합 및 시사점 / 조준모 1. 분야별 주요 연구겨로가 1.1. 무역 증대의 노동시장 효과 1.2. 교육 및 지적재산권 부문의 변화 1.3. 노동제도의 변화 1.4. 자본과 인력의 이동 1.5. 세계화 정책의 촉진 2. 시사점
서가브라우징
어떤 동사의 멸종 : 사라지는 직업들의 비망록 2024 / 지음: 한승태 / 시대의창
말랑말랑한 노동을 위하여: 좋은 일의 기준이 달라진다2020 / 황세원 지음 / 산지니
누가 나를 쓸모없게 만드는가 : 시장 상품 인간을 거부하고 쓸모 있는 실업을 할 권리2014 / 이반 일리치 지음 ; 허택 옮김 / 느린걸음
탈일자리 시대와 청년의 일: 청년실업을 넘어, 새로운 일과 삶의 정의에 대하여 2021 / 강민정 지음 / 박영사
직업의 지리학 : 소득을 결정하는 일자리의 새로운 지형2014 / 지은이: 엔리코 모레티 ; 옮긴이: 송철복 / 김영사
미래 유망 일자리 전망2023 / 지음: 김영기 ...[외] / 브레인플랫폼
직장이 없는 시대가 온다 : 경제적 자유인가, 아니면 불안한 미래인가 2019 / 지음: 새라 케슬러 ; 옮김: 김고명 / 더퀘스트 :
특수고용과 젠더(학습지 교사는 왜 근로자가 아닌가? ) = The special employment and gender : why are home-study teachers' right as workers not guaranteed by the labor standard act?2019 / 지음: 원혜정 / 푸른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