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역민주화운동사 연구총서 발간에 부쳐
서문
총론
제1부 1950~1960년대의 민주화운동
제1장 이승만 정권과 4월혁명
제1절 이승만 정권의 반공체제 구축
제2절 4월혁명
제3절 4월혁명 직후 대중운동의 확산
제4절 전북지역 4월혁명의 의의와 한계
제2장 1960년대의 반독재민주화투쟁
제1절 1960년대 전반기의 반독재민주화투쟁
제2절 1960년대 후반기의 반독재민주화투쟁
제2부 유신체제기의 민주화운동
제1장 유신체제의 성립과 민주주의 말살
제1절 유신체제의 성립
제2절 민주주의 말살
제2장 유신체제 전반기의 유신반대투쟁(1972. 10~1975. 4)
제1절 전주고 학생들의 비상계엄 반대시위
제2절 신ㆍ구교를 중심으로 한 저항의 확산
제3절 대학생들의 유신반대투쟁
제3장 유신체제 후반기의 유신반대투쟁(1975. 5~1979. 12)
제1절 긴급조치 9호 발동과 유신반대투쟁 탄압
제2절 신ㆍ구교계의 저항과 학생운동세력의 형성
제3절 학생운동의 성장
제4장 민중운동의 성장
제1절 농민운동
제2절 노동운동
제3부 1980년대의 반독재민주화투쟁
제1장 ‘민주화의 봄’과 광주학살 진상 규명투쟁
제1절 ‘민주화의 봄’의 도래
제2절 5ㆍ17쿠데타와 광주학살 진상 규명투쟁
제2장 전두환 정권하의 반독재민주화투쟁
제1절 전두환 정권의 지배정책
제2절 1980년대 초반의 반독재민주화투쟁
제3절 유화국면 이후의 반독재민주화투쟁
제4절 2ㆍ12총선과 개헌정국하의 반독재민주화투쟁
제5절 개헌 정국하의 직선제개헌투쟁
제3장 6월민주항쟁
제1절 박종철 고문사망 사건과 민주대연합
제2절 6월민주항쟁의 전개
제3절 6ㆍ29선언 이후 대선 국면의 반독재민주화투쟁
제4절 6월민주항쟁의 의의
제4장 노태우 정권하의 반독재민주화투쟁
제1절 노태우 정권의 공안통치
제2절 통일운동의 대두
제3절 1989년 1차 공안정국하의 반독재민주화투쟁
제4절 2차 공안정국하의 반독재민주화투쟁
제5절 민주화운동의 변화와 새로운 흐름
제4부 각 부문에서의 민주화운동
제1장 농민운동
제1절 1980년대 개방농정과 전북지역의 농촌 상황
제2절 농민 대중투쟁의 진전(1980~1984년)
제3절 농민대중의 자주적 진출과 투쟁의 전면화(1985~1988년)
제4절 농민운동의 조직통일과 UR협상투쟁(1989~1992년)
제5절 1980년대 전북지역 농민운동의 특징과 의의
제2장 노동운동
제1절 전북지역 노동운동의 사회경제적 배경
제2절 민주노조운동의 태동
제3절 노동운동의 확산과 전라북도 노동조합연합회의 결성
제4절 전북지역 노동운동의 성격과 의의
제3장 종교계의 반독재민주화투쟁
제1절 천주교계의 반독재민주화투쟁
제2절 개신교계의 반독재민주화투쟁
제4장 교육계ㆍ학계의 민주화운동
제1절 교육민주화를 위한 교사운동의 태동
제2절 전교조 출범 이후의 교육민주화운동
제3절 학계의 민주화운동
제5장 문화예술운동
제1절 1980년 이전 전북지역의 문화예술운동
제2절 1980년대 전반기의 문화예술운동
제3절 1987년 이후의 문화예술운동
제4절 문화예술운동의 새로운 모색
제6장 여성운동
제1절 여성운동 복구 이전의 혼란기
제2절 지역여성운동의 전개과정
제3절 부문별 지역여성운동
제4절 전북지역 여성운동의 의의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