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동아시아'를 역내 각 국가들의 단순한 병렬적 집합으로서가 아니라 인접 국가 간의 관계를 통해 파악하고, 그 관계의 역사적 전개과정에 주목한 연구서. 동아시아 역내의 국가 차원의 길항 관계를 다룰 뿐만 아니라 국가 수준을 넘는 동아시아사 전개의 포괄적 구조, 그리고 국가 수준 이하의 다양한 행위자들의 움직임까지도 시야에 넣고자 했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고중세 동아시아 국제 관계의 이해
1장 고대 동아시아사의 구조 / 김택민
2장 전한(前漢) 초기 입공·종번 외교와 차등적 국제사회 수립 / 이춘식
3장 고구려와 손오(孫吳)의 해상 교섭: 조위(曹魏)의 고구려 침공 원인과 관련하여 / 박대재
4장 백제·신라의 취리산 회맹과 연미산 제단 유적 / 최광식
5장 효덕조 권력투쟁의 국제적 계기: 동아시아 정세와 비조환도론(飛鳥還都論) / 이재석
6장 '백촌강 싸움'과 '임신(壬申)의 난' / 송완범
7장 당문화 속에 나타난 신라 고승의 활동: 중화주의 사관을 극복하기 위한 시론으로서 입당 구법승의 해동학장(海東學匠)·역경사(譯經師)·조사(祖師)·보살(菩薩) 및 나한(羅漢)을 중심으로 / 변인석
8장 대한해협을 건너 가야의 부뚜막 신앙: 고대의 가야와 일본열도 / 이영식
9장 북송 말 송려의 인식과 외교 / 이석현
10장 공녀를 통해 본 고려와 원과의 관계 / 이정신
제2부 동아시아 경제 교류의 역사적 실상
11장 고려 시대 송상 왕래 연구 서설 / 이진한
12장 14세기 동아시아 세계와 신안선 / 윤용혁
13장 청조의 해외무역에 대한 인식의 일면: 강희·옹정 시기 일본과의 무역 관계를 중심으로 / 홍성구
14장 근대 동아시아 삼국의 유통 네트워크와 거류지 삼국 상인의 자본회전 / 김윤희
15장 일제하 조·중 경제 교류의 실상: 무역을 중심으로 / 송규진
16장 재화(在華) 일본 기업에 대한 중국 공장법의 적용과 중일 관계 / 김지환
제3부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지역 질서의 변모
17장 1840년대 청조의 풍경 / 이영옥
18장 19세기 후반 조선의 개항과 동아시아 국제 질서의 변화 / 최덕수
19장 갑신정변과 동아시아 국제 질서 재편의 함수관계 / 박은숙
20장 '소송' 안건을 통해 본 19세기 한중 관계의 변모 / 이은자
21장 근대 일본의 팽창과 만주 / 조명철
제4부 동아시아 (상호)인식과 담론
22장 최치원 저술에 보이는 동아시아적 문화 교류 / 김복순
23장 프로이센의 선교사 칼 귀츨라프와 19세기 동아시아의 발견 / 라인하르드 죌너
24장 일본에서의 한본(韓本) 연구 동향에 대하여 / 하정용
25장 중국의 고구려·발해사 인식과 역사 갈등 / 한규철
26장 알타이문화권인가, 중국의 변방인가: 여행기를 통해 본 현대 한국인의 중국 변방 인식 / 유장근
27장 최근 한국의 '동아시아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박상수
제5부 역사적 성찰과 미래 전망
28장 20세기 초 의병 정신에 담긴 민족의식: 성재 기삼연의 경우 / 윤사순
29장 한국의 독립운동과 역사학: 박은식·신채호·조소앙의 경우 / 김시승
30장 한국전쟁에서 인도의 역할: 인도 측의 관점 / 조길태
31장 부강한 중국의 등장과 한반도 / 서진영
참고문헌
김준엽 선생 약력 및 저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