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국제무역론을 위한 기초
1장. 국제경제 현황
1. 국제무역 : 크기와 순서
2. 책의 구성
2장. 일반균형과 후생경제
1. 후생평가의 기준
2. 파레토최적과 일반균형
3. 분배의 공평성
4. 시장의 왜곡과 실패
5. 정부의 실패
2부. 국제무역이론
3장. 국제적 교환과 전문화의 결정요인
1. 교환의 전제조건
2. 무역의 공급측면에서의 결정요인
3. 무역의 수요측면에서의 결정요인
4. 결론
4장. 리카도의 모형과 헥셔-올린 정리
1. 비교우위성의 원리
2. 리카아도의 모형
3. 헥셔-올린(Heckscher-Ohlin) 모형
4. 요소가격 균등화정리(factor-price equalization theorem)
5장. 국제무역의 균형과 오퍼곡선의 도출
1. 국제무역의 균형에 관한 일반적 고찰
2. 무역오퍼곡선을 이용한 국제무역의 균형 고찰
3. 개방경제하의 일반균형
4. 수출공급의 가격탄력성과 무역오퍼곡선의 관계
6장. 전문화와 교환의 후생적 함의(含意)
1. 산업간 교환
2. 산업내 교환
3. 결론
7장. 교역조건론
1. 교역조건의 위치
2. 교역조건의 여러 개념 및 파악방법
3. 복수요소 교역조건(double factoral TOT)의 예
4. 교역조건과 국민후생
5. 교역조건의 장기추세
8장. 생산요소의 국제 이동과 다국적 기업
1. 노동의 국제이동
2. 자본의 국제이동
3. 다국적기업과 해외직접투자
3부. 관세론 및 무역정책론
9장. 관세개입의 경제적 효과
1. 관세의 개념
2. 자유무역과 보호무역
3. 관세의 분류
4. 관세부과의 경제적 효과
5. 관세의 일반 균형분석(General Equilibrium Analysis)
10장. 무역의 제한과 최적개입이론
1. 관세와 국내후생 : 최적 관세와 관세보복
2. 관세율과 관세수입
3. 관세와 세계후생 : 자유무역의 효율성
4. 시장의 왜곡과 최적개입
5. 상업정책으로서의 관세의존성
11장. 비관세정책
1. 비관세정책의 개관
2. 직접적인 양적 수입규제
3. 재정상의 비관세 개입
4. 행정 및 기술적 비관세장벽
12장. 명목 및 실효 보호
1. 실효보호의 개념
2. 실효보호관세율의 수학적 도출
3. 실효보호관세율의 특성
4. 단순실효보호 개념의 정밀화
5. 실효보호의 측정
6. 실증분석 결과
7. 실효보호와 무역정책
13장. 우리나라의 관세 정책 및 제도
1. 관세정책의 운용현황
2. 실효보호관세와 관세정책
3. 우리나라 관세법의 체계
14장. 경제통합이론
1. 경제통합의 형태
2. 무역창출과 무역전환
3. 국가간의 대체효과와 재화간의 대체효과
4. 동태적 효과
5. 지역주의와 다자주의의 관계
6. 지역경제통합의 현황
15장. 무역협상과 정치경제
1. 자유무역정책과 무역협상
2. 유치산업보호 및 산업화의 추진
3. 사양산업과 고용문제
4. 경제안보론
5. 전략적 무역정책
4부. 세계경제질서의 변화와 경제발전
16장. WTO체제와 세계경제
1. GATT
2. 우루과이라운드(UR)
3. 세계무역기구(WTO)
17장. 경제발전과 국제무역
1. 개방경제하의 경제발전
2. 경제발전이 무역구조에 주는 효과
3. 경제발전이 교역조건에 미치는 효과
4. 국제무역과 경제발전
5. 무역정책과 경제발전
18장. 우리나라 무역정책의 변천
1. 무역정책 개념의 등장시기 : 1945∼1953년
2. 무역정책의 개념정립기 : 1954∼1960년
3. 수출주도형 개발전략의 수립기 : 1961∼1966년
4. 수출지원체제의 확립기 : 1967∼1975년
5. 수출 지원 체제의 정비기 : 1976∼1980년
6. 무역정책의 전환기 : 1981년∼1990년
7. 1990년대
8. 2000년대 무역정책
9. 무역정책의 발전 방향 모색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