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손 없는 소녀
들어가는 글
아이가 어른이 되는 험난한 여정
동화 읽기
심층심리학적 해석
아버지는 왜 딸의 두 손을 자르는가? “방앗간 뒤에 있는 것을 준다면 부자로 만들어주겠소.”
아무것도 원하지 않는 ‘착한 아이’ “아버지가 원하신다면 제 팔을 자르세요.”
자기 존재를 찾아 나서다 “소녀는 잘린 팔을 등 뒤에 묶고 떠났습니다.”
금지된 것을 위반하는 용기 “소녀는 왕의 정원으로 몰래 들어갔습니다.”
소녀는 왕과 왜 헤어지는가? “나는 그대를 버리지 않겠노라.”
비로소 진정한 왕비가 되다 “왕은 7년 동안 아내를 찾아 헤맸습니다.”
백설공주
들어가는 글 죄와 불안의 유리 감옥이 열릴 때
동화 읽기
심층심리학적 해석
금지된 소망, 얼어붙은 삶 “눈처럼 희고, 피처럼 붉은 아이가 있다면”
거울 앞에 선 나르시시즘 “거울아, 거울아, 이 세상에서 누가 제일 예쁘니?”
어머니는 왜 딸이 죽기를 바랄까? “왕비는 시기심으로 낯빛이 파랗게 질렸습니다.”
젊음에 대한 치명적인 질투 “공주를 죽이고 허파와 간을 가지고 오너라.”
남자, ‘사냥꾼’ 혹은 ‘푸른 수염’ “사냥꾼이 칼을 꺼내 백설공주의 가슴을 찌르려고 하자…”
움츠린 자아, 퇴행하는 정신 “백설공주는 난쟁이들과 함께 머물렀습니다.”
처벌당하는 여성성 “이리 와보렴. 네 허리를 제대로 죄어주마.”
유리 관 속의 공주 “공주는 아주 오랫동안 관에 누워 있었습니다.”
왕자는 왜 죽은 여자에게 매혹되는가? “백설공주를 보지 않으면 살 수 없을 것 같으니까요.”
안에서만 열리는 관 “공주가 먹은 독사과 조각이 튀어나왔습니다.”
처벌하기와 용서하기 “왕비는 죽을 때까지 춤을 추어야 했습니다.”
흰눈이와 빨간 장미
들어가는 글 동화, 의식의 근원으로 가는 통로
동화 읽기
심층심리학적 해석
‘어머니 대지’의 선한 아이들 “한 아이는 ‘흰눈이’, 다른 아이는 ‘빨간 장미’라고 불렀습니다.”
불안과 분열 없는 성장 “우리는 절대 헤어지지 않을 거야.”
내 안의 ‘곰’과 만나기 “두려워하지 마세요. 저는 해를 끼치지 않아요.”
감시하는 초자아, 비난하는 난쟁이 “난쟁이는 소녀들을 보고 소리를 질렀습니다.”
난쟁이를 구해주는 이유 “이 돼먹지 못한 것들, 이 자랑스런 수염을 자르다니!”
털가죽을 벗는 왕자 “황금 옷을 입은 멋진 남자가 나타났습니다.”
홀레 아주머니
들어가는 글 불의의 세상을 견디며 사는 법
동화 읽기
심층심리학적 해석
악한 자의 행복과 선한 자의 불행 “엄마는 못생기고 게으른 딸을 훨씬 더 사랑했습니다.”
죽었다가 삶으로 떠오르는 ‘해의 소녀’ “꼬끼오. 우리 황금 아가씨가 돌아왔어요.”
게으름과 부지런함, 아름다움과 추함 “소녀는 실을 너무 많이 자아서 손가락에서 피가 났습니다.”
자기 자신으로 다시 태어나다 “소녀는 불안에 떨며 우물로 뛰어들었습니다.”
‘해의 소녀’는 왜 돌아오는가? “집에 가고 싶어 슬퍼졌어요.”
게으름은 왜 악인가? “역청은 게으른 소녀 몸에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주석
그림·사진 해설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