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작글
차례
제I부 영어시험에 관한 사회정치적 총론
1장 언어평가론 탐색 : 실용주의, 민주주의, 개인주의 관점에서
2장 푸코의 권력이론에서 본 언어시험의 양면성
3장 토익 수험자의 인식 연구 : 비판적 언어평가론 관점에서
4장‘토플대란’ 신문기사의 비판적 담론분석
5장 광고에 나타난 원어민과 내국인의 이미지 분석
6장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비판이론으로 고부담 영어시험의 속성 탐색
7장 비판적 응용언어학 : 언어평가 연구의 외연 확장을 위한 예비적 논의
제II부 의도와 결과의 간극 I: 시험개발의 시스템 측면에서
8장 문항작성지침서의 역할과 실제 사용의 문제점
9장 말하기평가 문항의 의도와 결과 : 의사소통 기능 중심으로
10장 대학입시에 등장한 영어대화문의 특성 : 상호작용성 중심으로
11장 채점기준표 사용의 의도와 결과 : 초등영어평가도구 중심으로
12장 시험과 실제 상황에서 구어문법 사용의 차이 : 과업별 분석
13장 말하기시험 준비과정에서 나타난 구어문법 사용의 경향
제III부 의도와 결과의 간극 II: 정책, 프로그램, 경시대회에서
14장 정책도구로 사용되는 국내 영어시험의 의도와 오용
15장 말하기대회 시행사와 수험자간 인식의 차이 : 인터넷 기반의 시험준비활동을 중심으로
16장 교육과정 기반 배치시험의 개발 사례 : 초등영어교육 현장에서
17장 국내 TESOL 프로그램의 의도 그리고 의문점
18장 영어교육 기사 보도와 학술연구 동향의 간극
제IV부 대안 탐색: 윤리, 전문성, 성찰적 사고
19장 언어평가자 교육에 관한 기초 현장자료
20장 윤리적 측면에서 영어평가 분야의 전문성 논의
21장 기독사회적 관점에서 언어평가자의 전문성 고찰
22장 내러티브탐구 학습을 통한 교육경험의 성찰
23장 성찰적 글쓰기 활동을 통한 예비 전문가의 교육적 성장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