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일반사항 1. 전압의 종류 2. 전기설비의 구분 3. 전기설비의 종류 4. 전기수용설비 및 교육 5. 전기안전관리자의 선·해임 신고 및 직무대행자 6. 전기담당자(전기과장 등) 인·허가 사항 보관할 서류 7. 국가기술자격증 대여 관련사항 8. 동일노선의 고속도로 터널의 전기설비 2개소 및 임대아파트 등(선임·미선임시 처벌) 9. 전선과 기구단자의 접속 10. 합성수지제 1개의 박스내의 수용 전선 수 11. 전기의 품질기준 12. 저압전로의 절연성능 13. 접지공사의 종류 14. 기계기구의 철대 및 외함 접지 15. 전기안전관리업무를 전문으로 하는 자 등의 자격요건 16. 전기설비의 안전조치 구분 17. 대기전력 높은 가전제품
제2장 배선설비 1. 전기방식의 분류 2. 간선설비방식 3. 분전반의 구분 4. 누전차단기의 특징 및 종류 5. 감전 및 사고 발생 6. 배선용차단기의 특징 및 선정 7. 동력설비의 배선용차단기 선정 및 전선 굵기 8. 누설전류값 계산 및 누전차단기 차단 9. 낙뢰로 인한 전기, 통신, 소방, CCTV등의 PCB(회로기판)의 손상을 방지 10. 승압과 강압의 차이점 11. 적산전력량계 12. 캐치홀더와 전선퓨즈 13. 사용전력량계 고장 및 전기요금 계산방법 14. 주택용전력 외의 4[KW] 이상 수용가의 사용량 협정 15. 주택용전력의 일수계산 16. 전기보증금 17. 소멸시효의 관리 18. 한 달의 전기사용량 계산하는 방법 19. 표준부하 산정방법 20. 전기관련 제품의 에너지 소비효율의 높은 제품선택 21. 재실감지센서 또는 방향인식 카운터센서를 설치하여 에너지절약
제3장 전등, 전열 설비 1. 콘센트의 종류 및 콘센트 등 사용할 수 있는 용량 2. 스위치의 종류 및 회로도 3. 조명설비공사 4. 조명(광원)설비 5. 광전식 자동점멸기 6. 세대의 세면장(화장실) 조명등, 환기팬 설치 및 냄새의 원인 7. HID등 8. 보안등 및 가로등 선정할 경우의 절감 효과 9. 공동주택 단지안의 보안등 설치 10. 가로등 및 보안등의 조명시설 11. 기울어진 보안등(외등) 기둥[Pole] 보수방법 12. 건축물 옥상 경관조명 전기사용량 및 전기요금 13. 조명등 및 HID등 유지관리 14. 단위의 명칭과 기호
제4장 접지·절연 및 피뢰침 설비 1. 접지설비 2. 접지저항 측정방법 3. 절연저항계의 종류 및 측정방법 4. 회로시험기(테스터)의 이용방법 5. 변압기 제2종 접지공사 방법 6. 피뢰침설비 7. 낙뢰발생 및 낙뢰를 맞았을 경우 조치
제5장 수변전설비 1. 수변전설비 2. 특고압 수전설비 단선결선도 3. 수변전설비의 주요기기 용량산출 4. 수전설비의 배전반 등의 최소 유지거리 5. 변압기 종류의 특징 6. 변압기시설의 부하관리 및 효율화 7. 수변전실 내 전압은 380[V]인데 0.9[km] 떨어진 지점에서의 장비가 작동될 경우 338[V]로 측정됨 8. 누전경보기(수전실내 큐비클에 부착 누전경보기)의 역할
제6장 예비전원설비 1. 축전지 및 자가발전설비 2. 발전기실의 위치 및 구조 등 3. 발전기의 분류 4. 발전기실의 면적 계산방법 5. 발전기용량의 결정방법 6. 발전기용량의 계산방법 7. 발전기 관리사항 8. 전기설비 등 장기수선계획의 수립기준
제7장 공청·무선안테나 및 항공장애 등 1. 공청안테나설비 2. 전계강도의 계산 3. 위성방송설비의 종류 4. 무선안테나(1G-4G) 설비 5. 인터넷 모뎀 및 컴퓨터 등 케이블 배선방법 6. 주택 또는 세대의 인터넷모뎀, 인터넷전화, 유무선 공유기를 사용할 경우 기기 연결방법 7. 항공장애등설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