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증언록 소개
첫 번째 이야기_ 들어가며
“내가 앞장서서 나갈게”
두 번째 이야기_ 어린 시절
“우리 엄마 왜 때려!”
세 번째 이야기_ 엄마를 만나러 가는 길
“아버지가 나를 빼앗을려 그래서”
네 번째 이야기_ 인신매매
“한마디로 우린 노예였어”
다섯 번째 이야기_ 용주골, 광탄 기지촌
“이 골방에 갇혀서 맞고”
여섯 번째 이야기_ 문산 기지촌
“하늘을 지붕으로 삼고”
일곱 번째 이야기_ 두 번째 용주골 기지촌과 대춧벌
“세코날 먹고 동맥을 끊고는”
여덟 번째 이야기_ 동두천 홍콩빌리지 기지촌
“엄마 죽고 나서 아들도 그 자리에 가서”
아홉 번째 이야기_ 미군 위안부에 대한 한미 양국 정부의 체계적 관리
열 번째 이야기_ 평택 안정리 기지촌
“내 몸뚱아리 갖고 내 맘대로도 못하는 세상”
열한 번째 이야기_ 대구 왜관 기지촌
“쪼끔 좋아했으니까 여까지 따라왔지”
열두 번째 이야기_ 부산 하야리아부대 기지촌
“여기 언니들은 다 얼루 갔을까?”
열세 번째 이야기_ 삼각지 기지촌
“미군 접대하라구 사인을 해주는 거야”
열네 번째 이야기_ 두 번째 동두천 기지촌
“여기서 죽어나간 사람이 몇인지 몰라”
열다섯 번째 이야기_ 두 번째 평택 기지촌
“변소칸도 쫓아오더라니까”
열여섯 번째 이야기_ 의정부 뺏벌 기지촌
“너는 나의 분신이야”
열일곱 번째 이야기_ 군산 기지촌
“젊은 포주들이 돌아가면서 정문 보초를 섰어”
열여덟 번째 이야기_ 동두천과 새움터
“우리 언니들 목숨은 목숨도 아니냐!”
열아홉 번째 이야기_ 유언
“정부에서 나를 끌어가지 않게 해다오”
스무 번째 이야기_ 에필로그
“나는 누구든지 한번은 좀 보여주고 싶었어”
부록 국가폭력으로서 군위안부 제도의 역사
해제 또 하나의 역사: 미군 위안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