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과 떼려야 뗄 수 없는 민족 지도자들, 이승만과 박은식. 언론이 민족 운동사에 자랑스러운 발자취를 남길 수 있었던 것은 이 땅에 신문이 처음 발간되던 초창기에 이승만, 박은식을 비롯한 언론 선구자들이 세운 전통이 있었고, 일제 강점기와 광복 이후의 정치적 혼란기를 거치는 동안 이를 올바르게 계승하였기 때문이다. 책은 '이승만의 독립과 구국의 정치', '박은식의 구국언론과 항일독립운동'에 대해 다룬다.
목차
서문
1부 언론을 통한 이승만의 독립과 구국의 정치 1. 국제적인 독립운동가, 정치가 2. 한학과 배재학당의 서양식 교육 1) 고종이 하사한 배재학동 교명 2) 서재필의 지도로 협성회 결성 3) 이승만의 영어연설 3. 신문발간 주도 1) 민간신문의 증가와 ‘언론계’의 형성 2) 협셩회회보 논설과 신체시 3) 최초의 일간지 뫼일신문 4) 러시아와 프랑스의 압력 4. 뎨국신문 주필 1) 새로 창간한 일일신문 2) 한성신보와의 논전 3) 만민공동회의 선봉장 5. 옥중의 논설 집필과 저술 1) 탈옥 기도로 종신 징역형 2) 번역과 『독립졍신』저술 3) 뎨국신문 주필로 복귀, 도미 6. 독립운동가로서의 언론활동 1) 태평양잡지 발간 2) 언론과 저술활동 병행 7. 정치인으로서의 언론 정책 1) 경직된 대북 언론정책 2) 6ㆍ25전쟁 기간의 남북한 신문 3) 이승만 정부와 언론의 갈등 4) ‘싸우는 신문’과 물리적인 통제 8. 언론인, 독립운동가, 정치인의 생애와 평가
2부 박은식의 구국언론과 항일독립운동 1. 한말의 우국적 언론인들 2. 황성신문의 창간과 운영 1) 정부, 민간인, 기독교의 신문 발행 2) 경성신문-대한황셩신문 3) 임원 병동 3.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의 논설 집필 1) 황성신문 주필 2) 대한매일신보 논설 집필 3) 두 번째 황성신문 주필 4. 망명지에서의 항일언론 1) 중국에서의 언론활동 2) 독립신문의 주식모금 3) 일본의 방해공작에도 중문보 발간 4) 독립신문 사장 취임과 대통령 취임 5. 항일 언론과 구국 독립운동의 일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