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9
제1장 현대중국어 어휘의 구성 13
제1절 형태소와 단어 13
제2절 숙어와 고정구 22
제3절 형태소와 숙어, 고정구의 어휘적 성질 25
소 결 31
제2장 현대중국어 어휘 분류 35
제1절 기본어휘와 일반어휘 35
제2절 단음절어, 다음절어, 단일어, 복합어 42
제3절 첩음어 47
제4절 구래어, 신조어, 방원어, 외래어 52
소 결 57
제3장 단어구성법과 조어법 61
제1절 현대중국어 단어구성법 61
제2절 복합어(合成词)의 구조층위 68
제3절 현대중국어 조어법 71
소 결 77
제4장 현대중국어 단어의미 81
제1절 단어의미와 그 성질 81
제2절 단어의 단의와 다의 86
제3절 단어의미의 분석 89
제4절 단어의미 간의 관계 94
제5절 단어의 부가의미 106
제6절 단어의미의 변천 121
제7절 단어의미와 사전편찬 131
소 결 136
제5장 현대중국어의 숙어(熟语) 141
제1절 성어 141
제2절 관용어 150
제3절 헐후어 156
소 결 166
제6장 어휘와 문화 169
제1절 어휘 체계의 구성요소에 대한 문화의 영향 169
제2절 문화가 단어의 형식에 미친 영향 174
제3절 문화가 단어의미에 끼친 영향 178
제4절 문화를 반영하고 전승하는 단어 181
소 결 184
제7장 동음어와 동형어 187
제1절 동음어 187
제2절 동형어 193
소 결 196
제8장 현대중국어 단어의 축약과 통칭 199
제1절 축약의 의미와 유형 199
제2절 축약어의 특징 207
제3절 축약어의 사용 209
제4절 단어의 통칭 211
제5절 축약어와 통칭어의 생성 기제 215
소 결 216
제9장 현대중국어 어휘의 체계성 219
제1절 체계성의 구현 219
제2절 어휘 체계의 자기 조절 기능 223
제3절 어휘체계의 자기조절 기능의 표현 225
제4절 어휘 체계성의 의미 이해 229
소 결 231
제10장 어휘의 차용 233
제1절 차용의 원인과 특징 233
제2절 차용방식 236
제3절 차용원인 246
소 결 250
제11장 현대중국어 어휘의 규범화 253
제1절 규범의 필요성 253
제2절 규범의 동태성과 상대성 255
제3절 규범의 내용과 기준 257
제4절 새 단어와 체계 없는 단어의 창조 262
소 결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