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속 수많은 혁명은 실패했다. 혁명을 외치던 세대가 이끌어 온 세상은 처참한 꼴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앞으로 이 세상을 전복시킬 힘은 무엇일까? 이 책은 현재를 ‘혁명 불가능의 시대’라고 규정하고, 이 시대를 움직일 힘을 ‘봉기’에서 찾는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디스토피아와 함께 봉기가 시작된다
01 안 하고 싶습니다 02 탈출구 없는 평생 노동 03 《도라에몽》의 진구와 비정규직 04 개인의 공생을 위하여! 05 우리도 사랑할 수 있을까? 06 생각에 신선한 바람을 불어넣자 07 도박 같은 삶, 포기하고 튀어라 08 원 플러스 원 09 얼굴의 파시즘, 등 뒤의 데모크라시 10 역사라는 이름의 기관차를 멈춰라 11 현실 세력의 비관주의, 잠재 세력의 낙관주의 12 한겨울의 망령, 코뮤니즘 13 반딧불에 대하여 14 핵전쟁의 리얼리티 15 적보다 앞서 미래를 선취하라 16 ‘테러’라는 꼬리표 17 절단 없는 흐름은 없다 18 윤리는 카메라 위치의 문제 19 우리는 모두 마르코스다 20 이념을 갖고 산다는 것 21 ‘표현’보다 ‘인상’의 자유를 22 기득권의 명령, ‘죽음을 두려워하라’ 23 사라져야 하는 아이덴티티 24 자연적 에고이즘 25 소문과 진상을 구분하려는 자들 26 봉기와 함께 사랑이 시작된다 27 일상적인, 너무나 일상적인 28 ‘제어’만 할 수 있다는 함정 29 얽히고설킨 공간의 시대 30 모두가 이야기하다, 모두를 이야기하다 31 원자력 발전과 봉기 32 모든 것 속에 모든 것이 있다 33 ‘획일화’의 시대에서 ‘황량함’의 시대로 34 부채 인간 제조 사회
덧붙이는 글│ 두통: 앎의 해방에서 봉기로 글을 마치며 옮긴이의 말
서가브라우징
社會學2008 / 현승일 저 / 박영사
인정투쟁 : 사회적 갈등의 도덕적 형식론2011 / 악셀 호네트 지음 ; 문성훈, 이현재 옮김 / 사월의책
깨달음의 사회학2002 / 홍승표 지음 / 예문서원
다중격차. Ⅱ, 역사와 구조2017 / 엮음: 황규성 ; 강병익 / 페이퍼로드
그러니까, 이것이 사회학이군요 : 사회학은 무엇이고, 무엇이어야 하는지 다시 배웠습니다2017 / 지음: 후루이치 노리토시 ; 옮김: 이소담 / 코난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