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서문: 총체예술, 바그너에서 백남준까지

제 1 부 총체예술의 모든 것
Ⅰ. 종합예술 그리고 총체예술
Ⅱ. 바그너의 종합예술
Ⅲ. 총체예술의 변천
1. 총체예술의 기호론
2. 총체예술로서 행위예술
3. 행위예술 수용의 문제
Ⅳ. 공연예술과 영상예술의 교감
1. 총체예술로서 무대와 영상의 만남
2. 무대예술과 영상예술의 구조 비교
3. 무대와 영상 그 결합의 미학
4. 표현영역의 확대로서 영상수용
5. 공연예술과 영상예술 그 실천 - <묵사>
Ⅴ. 총체예술의 다양한 얼굴
1. 새로운 연극
2. 김도산의 연쇄극에서 백남준의 비디오아트까지
1) 연쇄극의 총체예술성
2) 심야영화 록키호러픽쳐 쇼
3) 백남준의 위성TV
4) 코스프레

제 2 부 한국 전통연희의 총체예술성
Ⅰ. 마당극 - "총체예술의 모델로서 마당극론"
1. '놀이적 연극론(마당극론)' - 전통 마당극의 현대화
<영문 부록> “새로운 연극의 모델로서 마당극” ‘Madang Theater' as a model for a New Theater
2. '놀이적 연극' 대본, <시도Ⅱ> - 마당극의 현대화
<영문 부록> 놀이적 연극대본<시도Ⅱ> Madang Theater 〈AttemptⅡ〉
3. 놀이적 연극 <시도Ⅱ>의 공연현장 기술
4. 쉐크너의 환경극장과 커비의 구조주의연극 소개
Ⅱ. 민속연희 <발탈>의 총체예술성
1. <발탈>의 총체예술성 논의
2. 연희의 총체예술적 창조방식
3. 연희자와 악사 그리고 관객과의 극적 교류방식
<부록> 김응수의 <발탈> 연희대본
Ⅲ. 판소리의 영화에 대한 논의
Ⅳ. 변사의 총체예술성
<부록> 무성영화 <검사와 여선생>의 발췌 대본

제 3 부 새로운 연기술 훈련시스템
Ⅰ. 총체예술에서 배우의 역할
Ⅱ. 현대 연기술의 줄기와 그 연기관
1. 스타니슬라브스키(Constantin Stannislavski: 1863~1983)
2. 마야홀드(Vesevelod Meyerhold: 1874~1942)
3. 박탄코프(Eugene Vakhtangov: 1883~1922)
4. 브레히트 (Bertolt Brecht: 1898~1956)
5. 아르또(Antonin Artaud: 1896~1948)
6. 그로토브스키(Jerzy Grotowski 1933~1998)
7. 줄리앙 벡(Julian Beck: 1925~1985)과 주디쓰 말리나(Judith Malina: 1926~)
Ⅲ. 새로운 배우술 훈련을 위한 김수남 육체훈련시스템 Ⅱ -성명(性命)훈련 시스템
1. 조선기공
2. 명상훈련
3. 전통무술의 무예원리
<부록> ‘복식호흡 훈련’의 기초단계와 ‘자세교정 훈련’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퍼포먼스 퍼포먼스 퍼포먼스 퍼포먼스 2021 / 지음: 다이애나 테일러 ; 옮김: 용선미 / 나선프레스
배우의 꿈 = Dream come true 2015 배우의 꿈 = Dream come true 2015 2015 / 엮음: TH액팅아카데미 / 새로운사람들
배우의 꿈. Ⅱ : 배우를 꿈꾸는 이들의 심장을 뛰게 만드는 이야기 배우의 꿈. Ⅱ : 배우를 꿈꾸는 이들의 심장을 뛰게 만드는 이야기 2017 / 지은이:배우의 꿈 ; 엮음:TH액팅아카데미 / 새로운사람들
배우의 꿈 = Dream come true 2015 배우의 꿈 = Dream come true 2015 2015 / 엮음: TH액팅아카데미 / 새로운사람들
파도와 차고 세일: 임흥순과 오메르 파스트의 예술 세계 파도와 차고 세일: 임흥순과 오메르 파스트의 예술 세계 2023 / 글: 곽영빈 [외] / 서울시립미술관:
탈리아의 딸들 탈리아의 딸들 2006 / 김미란 지음 / 현대미학사
예술산업시대의 공연예술 유통  = Performing arts distribution in the age of arts industry 예술산업시대의 공연예술 유통 = Performing arts distribution in the age of arts industry 2018 / 지음: 김선영 / 별출판사
총체 예술 개론  : 총체예술, 바그너에서 백남준까지 총체 예술 개론 : 총체예술, 바그너에서 백남준까지 2011 / 김수남 지음 / 월인
연극총론 연극총론 2001 / 김일영 저 / 느티나무
관객을 위하여 관객을 위하여 1998 / 폴 덤 지음 ; 김문환 옮김 / 평민사
연극분석입문 연극분석입문 2003 / 장 피에르 링가르 지음 ; 박형섭 옮김 / 東文選
유치진 연극론의 사적 전개 유치진 연극론의 사적 전개 1998 / 박영정 지음 / 태학사
연극미학 연극미학 2003 / 모니크 보리 ; 마르틴 드 루즈몽 ; 자크 셰레 [같이]지음 ; 홍지화 옮김 / 동문선
아우구스또 보알의 연극 메소드 : 욕망의 무지개 아우구스또 보알의 연극 메소드 : 욕망의 무지개 1999 / 아우그스또 보알 지음 ; 이효원 옮김 / 현대미학사
민족연극학 : 연극과 인류학 사이 민족연극학 : 연극과 인류학 사이 2004 / 리차드 셰크너 지음;김익두 옮김 / 한국문화사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백남준; : 비디오 예술의 미학과 기술을 찾아서 백남준; : 비디오 예술의 미학과 기술을 찾아서 2001 / 에디트 데커 지음 ; 김정용 옮김 / 궁리
바그너의 이해 바그너의 이해 2015 / 지은이: 서정원 / 살림출판사
바그너, 그 삶과 음악 바그너, 그 삶과 음악 2012 / 스티븐 존슨 지음 ; 이석호 옮김 / 포토넷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언어와 이미지의 수사학  : 송민숙 연극평론집 2007~2013. 2 언어와 이미지의 수사학 : 송민숙 연극평론집 2007~2013. 2 2013 / 저자: 송민숙 / 연극과인간
드라마 분석 방법론 : 연극, 영화, 그리고 TV 드라마의 해석을 위하여 드라마 분석 방법론 : 연극, 영화, 그리고 TV 드라마의 해석을 위하여 2015 / 김용수 저 / 집문당
수행성의 미학  : 현대예술의 혁명적 전환과 새로운 퍼포먼스 미학 수행성의 미학 : 현대예술의 혁명적 전환과 새로운 퍼포먼스 미학 2017 / 에리카 피셔-리히테 지음 ; 김정숙 옮김 / 문학과지성사
전통 공연문화의 이해 전통 공연문화의 이해 2012 / 지은이: 박진태 / 태학사
한국 근대극 운동론 한국 근대극 운동론 2012 / 민병욱 지음 / 역락
월경하는 극장들 : 동아시아 근대 극장과 예술사의 변동 월경하는 극장들 : 동아시아 근대 극장과 예술사의 변동 2013 / 이상우 ; 김종진 ; 김현철 ; 박영산 ; 양근애 ; 이승희 ; 이주영 ; 이화진 ; 장동천 [공]글 / 소명출판
일본현대연극사. 明治·大正篇 일본현대연극사. 明治·大正篇 2012 / 오자사 요시오 지음 ; 명진숙, 이혜정, 박태규 옮김 / 연극과인간
(히라타 오리자의) 현대구어 연극론 (히라타 오리자의) 현대구어 연극론 2012 / 히라타 오리자 지음 ; 성기웅 ; 이성곤 편역 / 연극과인간
일본현대연극사  : 大正·昭和初期篇 일본현대연극사 : 大正·昭和初期篇 2013 / 오자사 요시오 지음 ; 명진숙, 이혜정 옮김 / 연극과인간
한국 배우 100인의 독백 한국 배우 100인의 독백 2012 / 서울연극협회 지음 / 들녘
전쟁과 극장 = East Asian war and theater : cultural politics of the modern theaters through war in East Asia : 전쟁으로 본 동아시아 근대극장의 문화정치학 전쟁과 극장 = East Asian war and theater : cultural politics of the modern theaters through war in East Asia : 전쟁으로 본 동아시아 근대극장의 문화정치학 2015 / 이상우 [외] 지음 / 소명출판
박탄고프 연출수업 박탄고프 연출수업 2018 / 지음: H.M. 고르차코프 ; 옮김: 김영선 / 동인
부두연극단의 공연사와 공연미학 부두연극단의 공연사와 공연미학 2014 / 저자: 김남석 / 연극과인간
경계를 넘는 공연예술 : 상호매체성과 새로운 지각의 파노라마 경계를 넘는 공연예술 : 상호매체성과 새로운 지각의 파노라마 2017 / 남상식 외 지음 / 태학사
(중국) 설창예술의 이해 (중국) 설창예술의 이해 2014 / 저자: 정유선 / 學古房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2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1
2017년1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