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애도와 우울증 : 푸슈킨과 레르몬토프의 무의식
발행연도 - 2011 / 이현우 지음 / 그린비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94411
-
ISBN
9788976821508
-
형태
352 p. 23 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기타 제문학
>
인도-유럽계문학
-
카테고리분류
인문
>
인문학 일반
>
인문 비평
책소개
우리에게 ‘로쟈’라는 이름으로 더 친숙한 인터넷 서평꾼 이현우. 이 책은 러시아 문학 연구자로서 로쟈의 면모를 엿볼 수 있는 첫 저서이다. 이 책은 ‘애도와 우울증’이라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개념을 도입하여 러시아 낭만주의 시대를 관통했던 두 시인, 푸슈킨과 레르몬토프의 서정시를 분석하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서장
1. 푸슈킨과 레르몬토프 연구의 경향
2. 낭만주의에서 사실주의로?
3. 낭만주의의 코드로서 애도와 우울증
4. 책의 구성
1장 _ 시인이 자기정립 조건으로서의 ‘상실’
1. 상실에 대한 두 가지 반응태도: 애도와 우울증
2. 푸슈킨의 유년기와 리체이 체험
3. 레르몬토프의 가족비극
2장 _ 상실에 대한 회상과 시인의 탄생
1. 국가적 회상과 국민시인의 탄생 푸슈킨
2. 개인적 회상과 ‘어린 영혼’으로서의 시인: 레르몬토프
3장 _ 애도적 상상력과 우울증적 상상력
1. 동경 대상의 두 유형: ‘바다’의 자유와 ‘하늘’의 노래
2. 낭만주의 시인의 자기상: 수인, 시인, 예언자
3. 사랑의 상실에 대한 두 가지 태도
4장 _ 데카브리스트 봉기와 시인의 죽음
1. 푸슈킨과 차다예프, 그리고 데카브리스트
2. 시인의 죽음과 레르몬토프
3. 푸슈킨의 기념비와 레르콘토프의 고독
4. 푸슈킨의 레르몬토프 문학의 자리
참고문헌
인물 연보
본문에 인용된 시 목차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1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1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