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추천사
1장 한비와 《한비자》
1. 한비의 운명과 일생
한비의 재능과 책략
한나라의 귀공자
저술 활동에 몰두하다
인재 쟁탈전의 희생양
한비의 죽음
한비의 생애
2. 한비의 법가사상과 이전의 법가 사상
한비 이전의 법가사상
한비 사상의 학술적 기원
3. 《한비자》의 처세와 지혜
《한비자》 책에 관한 정보
한비의 인성론
한비의 변법적 역사관
법, 술, 세의 집대성
한비와 마키아벨리
4. 《한비자》의 문학적 공로
논리는 골수에 사무치며, 문장으로 심장에 새긴다
박난문체의 창시
운문체의 새 지평을 열다
2장 한비사상의 실천과 진왕조의 흥망
1. 진의 흥기와 변법
진인의 흥기
상앙의 변법
상앙의 죽음
2. 진시황, 이사와 한비
승상 여불위의 기대
진왕 영정의 승리
한비의 죽음
3. 군주 일인독재체제의 구축
왕을 황제로 칭하다
피라미드식 통치구조
황제의 순행과 신격화
일의 경중에 관계없이 스스로 결정하다
4. 형벌로 세운 권위
잔인한 형벌
법의 악용과 남용
책을 불사르다 - 분서
문인의 참변 - 갱유
5. 사치와 무한한 욕망 - 스스로의 무덤을 파다
700여리에 달하는 아방궁
신비한 무덤 - 여산릉
장성, 도로정비로 인한 백성들의 원성
6. 진시황의 후계자 호해와 모략가 조고
적자 폐위를 위한 사구의 음모
포학무도
권모술수와 모략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하다
7. 진왕조의 붕괴
진왕조의 패망
진왕조 패망의 교훈
3장 외도내법에서 양유음법으로 진화
1. 진나라를 답습한 한제국
정치제도
중농억상 정책
법을 간소화하고 형량을 완화하다
2. 한 초기의 황로사상에 입각한 통치
통치사상의 변화
조참과 개공
진평과 전숙
왕생과 등공
두태후와 황생
급암과 양왕손
도가의 통치
3. 표면적으로는 도가를 내부적으로는 법가를 취했던 황로학
황로학의 기원
황로학의 내용
황로학의 소멸
4. 육가, 숙손통, 가의
육가와 그의 저서인 《신어》
숙손통의 조정의례 제정
가의와 그의 저서인 《신서》
5. 양유음법 관념 체계의 확립자, 동중서
동중서의 생애 및 저서
하늘과 인간이 서로 감응하다
삼강오상
인성의 세 가지 품격
덕을 크게 베풀고, 형벌을 가볍게 한다
《춘추》를 표준으로 삼는다
6. 표면적으로 유가를 표방하고, 내부적으로 법가를 취함
유가의 흥성
모든 사상을 퇴출하고 유가의 사상만을 존귀히 하다
양유음법 통치의 확립
양유음법의 역사적 영향
4장 한비의 법치 이론과 정치사상가
1. 난세에는 형벌을 최우선으로 한다-조조
2. 가르침엔 엄격함이 있어야 하고, 상벌에는 신의가 있어야 한다-제갈량
3. 존귀한 자를 벌함으로 권위를 세우고, 천한 자를 상줌으로 선함을 장려한다-갈홍
4. 안정된 국가는 예로 통치하고, 혼란한 국가는 법으로 통치한다-왕맹
5. 천하에 대한 진정한 통치는 진나라에서 유래한다-유종원
6. 죄를 지은 자는 마땅히 벌한다-포증
7. 세상이 변하면 마땅히 법도 변해야 한다-왕안석
8. 국가를 통일하는 것은 엄격함이 아니고서는 불가능하다-주원장
9. 군주를 존귀하게 여기고, 관리의 직무를 명확히 하며, 상벌에 신뢰감이 있어야 한다-장거정
5장 제왕술의 역사
1. 예와 법의 불가피한 동침
2. 한신을 처형한 유방
3. 아버지를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한 양광
4. 이세민과 현무문의 변
5. 여황제의 꿈을 이룬 무측천
6. 연회를 열어 병권을 찬탈한 조광윤
7. 화친을 요구하며 지위를 유지한 조구
8. 주익균의 남면지술
9. 옹정제의 황제 즉위
10. 건륭황제와 탐관오리 화신
6장 한비 사상의 현대적 의미와 의의
1. 국가의 패망 앞에 서 있던 지식인
2. 내일을 위해 개혁에 힘써야 하며, 스스로 개혁해야 한다-공자진
3. 옛 것을 변화시키면, 백성들이 행복해질 것이다-위원
4. 법과 이치를 중시하면, 폭력을 제거할 수 있다-증국번
5. 신불해와 한비의 현명함은 요순의 10배에 달한다-왕사탁
6. 한비 사상의 또 다른 의미를 예찬하다-엄복
7. 한비에게 양복을 입히다-양계초
8. 혁명가가 논한 법가-장태염
9. 법가 부흥론-상연생 & 진계천
7장 한비 사상의 또 다른 지혜
1. 관리학에서 나타나는 한비의 지혜
법, 술, 세 삼위일체의 집대성
현대의 관리부문에서 한비의 ‘법치’ 응용
2. 마케팅에 적용하는 한비의 지혜
짚신과 명주를 파는 노나라 상인
진주 상자를 사고 진주를 돌려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