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고려사로 고려를 읽다
제1편 통일의 새 아침이 밝아오다
왕건, 포용과 도량으로 삼한을 품다
삼한통일의 기틀을 다지다
왜 1등 개국공신 모두가 무장이었을까
조선에 정도전이 있다면 고려에는 최언휘가 있었다
「훈요」로 본 ‘왕건 대 이성계’
제2편 혼인동맹, 독인가 약인가
왕건의 죽음, 먹구름이 드리우다
외척 왕규, 실권을 장악하다
왕실과 귀족의 갈등이 시작되다
광종, 개혁군주인가 미친 폭군인가
고려의 자신감, 개방성으로 드러나다
서희, 고려의 국격을 세우다
권력의 이면, 왕계승통의 혼란상
제3편 이상 정치의 기틀을 다지다
성종, 관제개혁을 단행하다
조선의 하륜, 고려의 최승로
천추태후, 비극적 종말을 맞다
김치양의 야심, 수포로 돌아가다
반역이 아닌 반정의 인물, 강조
현종, 몽진의 치욕을 덮다
거란을 멀리하고 송을 가까이하라
거란의 침공, 전화위복의 기회가 되다
강감찬, 권력의 본질을 꿰뚫다
『고려왕조실록』실제로 존재했던 걸까
제4편 태평 시대를 열다
덕의 군주 현종, 왕실을 반석 위에 올려놓다
순조로운 왕위계승
해동공자 최충 시대의 개막
최충 후손들의 번영과 역사의 그늘
문종, 불교 문화를 꽃피우다
실리 외교를 취하다
문종은 왜 왕통의 적서를 강조했을까
주전론자 대각국사 의천
제5편 쇠락의 조짐을 보이다
형제승통, 불안한 기운이 싹트다
숙종의 고뇌와 공로
숙종, 여진 정벌을 꿈꾸다
피비린내 나는 분란의 서막
격랑의 역사 속으로 들어가다
고려 왕실에서 일어난 강제폐위
제6편 문벌의 난립, 혼란을 부추기다
‘인주 이씨’, 최대 문벌로 떠오르다
이자겸, 임금의 자리를 엿보다
이자겸의 난과 인종의 반격
또 하나의 명문가 김부식 집안
김부식, 이자겸에 맞서다
서경, 역적의 땅이 되다
묘청과 정지상 그리고 김부식
수렁으로 빠져드는 고려
김부식, 역사를 쓰다
제7편 무신정권 한계를 드러내다
의종, 환관의 시대를 맞다
정함·김존중, 조정을 농락하다
무인의 분노가 폭발하다
최충헌·최충수의 골육상쟁
유경, 무신정권에 종지부를 찍다
무신정권 하의 허수아비 임금들
또 하나의 허수아비 ‘강화도령’ 강종
미모의 지략가, ‘의종의 장녹수’ 무비
제8편 고려의 굴욕 ‘충’ 자 임금이 출현하다
고려, 몽골에 굴복하다
고려의 멸망을 재촉하다
패륜의 발단, 숙창원비
오윤부, 망국의 기운을 느끼다
설경성, 목숨 건 왕진을 떠나다
몽골 치하 고려의 ‘충’ 자 임금들
공녀에서 황후까지, 파란만장한 기황후
고려의 바둑왕 조윤통
제9편 여말선초, 혁명적 기운이 감돌다
누가 충신이고 누가 반역자인가
김사행, 조선 건축미학을 창시하다
할아버지는 고려의 간신, 손자는 조선의 충신
왜 그들은 간신으로 남았는가
격변기를 잘 이용한 무송 윤씨
고려와 조선에 봉사한 최무선 부자
이성계, 권력의 정점에 서다
새로운 왕조가 탄생하다
파주 노씨 집안의 뜻밖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