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지식.정보책의 형식을 벗어나 쉽고 재미있게 사회 개념을 알려주는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시리즈 한국지리편. 꼭 알아야 할 주요 교과 내용을 가려 뽑고, 핵심을 추려 전체적인 흐름을 정리하는 것까지 현직 선생님이 초등학생의 입장에서 만들었다. 집필자와 편집부가 함께 교과서를 분석하고, 꼭 필요한 핵심 내용을 가려 뽑아 키워드로 제시하고, 도입에 주제와 관련된 만화를 이용해 흥미를 유도했다.
목차
1장 우리나라의 지도 지도가 뭐예요?_지도 지도는 모두 똑같이 생겼나요?_지도의 종류 지도는 왜 필요한가요?_지도의 필요성 방위가 뭐예요?_방위 어디가 동쪽이고 어디가 서쪽인지 어떻게 알아요?_방위 찾는 방법 축척이 뭐예요?_축척 축척이 크다, 작다는 어떻게 구분하나요?_축척의 크기 기호가 뭐예요?_기호 등고선이 뭐예요?_등고선 등고선은 어떻게 그려요?_등고선 그리기 지도를 보면 실제 거리를 알 수 있나요?_거리 계산하기 내가 있는 곳의 실제 높이를 어떻게 알 수 있나요?_등고선 읽기 지도에서 색깔 구분이 뜻하는 것은 무엇인가요?_고도의 색깔 구분 그래프(도표)는 수학에서 필요한 것 아니에요?_그래프 꺾은선 그래프와 원 그래프는 언제 사용하나요?_그래프의 종류
2장 우리나라의 기후 날씨와 기후는 어떻게 달라요?_기후 우리 집 온도계의 온도가 기온인가요?_기온 내리는 비를 모두 모은 것이 강수량인가요?_강수량 기후를 그래프로 나타낸다고요?_기후 그래프 우리나라의 기후에는 어떤 특색이 있나요?_우리나라 기후의 특색 왜 남부 지방가 해안 지방이 겨울에 더 따뜻한가요?_기온의 남북 차이 계절에 따른 날씨는 어떤가요?_계절 구분 울릉도에는 왜 눈이 많이 내리나요?_다설지 기후가 다르면 입는 옷이 달라지나요?_기후와 의생활 기후는 우리가 먹는 음식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_기후와 식생활 남부 지방에서는 짜게, 북부 지방에서는 싱겁게 먹는 이유가 뭐예요?_음식의 지역 차이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집 모양은 왜 달라요?_기후와 주생활 온돌을 왜 최고의 난방 기법이라고 하나요?_온돌 이상 기후는 이상한 기후라는 뜻인가요?_기후의 변화 지구 온난화가 대량 살상 무기라고요?_지구 온난화
3장 우리나라의 지형 얼마나 높아야 '산'이라고 하나요?_산 산지는 어떤 곳이에요?_산지 하천이 뭐예요?_하천 평야는 처음부터 평평했나요?_평야 분지는 어떻게 생긴 땅이에요?_분지 해안은 어떤 곳이에요?_해안 갯벌을 왜 '바다의 밭'이라고 하나요?_갯벌 우리나라 산지에는 어떤 특색이 있나요?_우리나라 산지의 특색 우리나라 하천에는 어떤 특색이 있나요?_우리나라 하천의 특색 넓은 평야를 보려면 어디로 가야 하나요?_우리나라 평야의 분포 낙동강 삼각주는 정말 삼각형 모양인가요?_삼각주 제주도와 울릉도는 쌍둥이인가요?_화산섬 동해안과 서해안은 왜 다르게 생겼어요?_동·서해안의 차이
4장 우리나라의 산업 농업은 어떤 활동을 말하나요?_농업 고도가 높은 산지에서도 농사를 짓나요?_고랭지 농업 대도시 근처에서는 왜 벼농사를 짓지 않나요?_근교 농업 농산물에도 상표가 있나요?_특산물(농산물) 우리 집 어항에 금붕어를 키우는 것도 어업인가요?_어업 대게를 먹으려면 동해로 가야 한다고요?_특산물(수산물) 공업은 어떤 활동을 말하나요?_공업 공장은 어떤 곳에 세워야 하나요?_공장의 입지 조건 상업과 서비스업은 서로 사촌인가요?_상업과 서비스업 1차, 2차, 3차 산업은 어떻게 달라요?_산업의 분류
5장 우리나라의 인구 인구가 뭐예요?_인구 인구 피라미드는 사람을 피라미드처럼 쌓은 건가요?_인구 피라미드 사람들이 많이 사는 곳과 적게 사는 곳에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_인구 분포 사람들이 다른 곳으로 옮겨 가는 이유는 무엇이가요?_인구 이동 남자와 여자의 인구수가 다른 것도 문제가 되나요?_인구 문제 우리나라의 인구는 어떻게 변해 왔나요?_인구 변화 우리나라 사람들은 어디에 많이 살고 있나요?_우리나라 인구 분포의 특색 우리 국토의 모습이 머리만 큰 가분수 같다고요?_수도권 인구 집중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왜 심각한 거예요?_인구 고령화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없나요?_인구 문제 해결 방안
6장 우리나라의 도시 도시는 어떤 곳이에요?_도시 사람만 많이 살면 도시가 되나요?_도시화 도시가 되면 행정 구역 이름도 바뀐다고요?_행정 구역 구분 가장 면적이 큰 도시를 뭐라고 부르나요?_도시의 종류 우리나라에서 도시가 많은 곳은 어디예요?_도시 분포 위성 도시와 인공위서은 어떤 사이예요?_위성 도시 도시 문제는 왜 나타나나요?_도시 문제
7장 우리나라의 촌락 촌락은 어떤 곳이에요?_촌락 농사짓는 마을에서는 어떻게 살아가나요?_농촌 바닷가 마을에서는 어떻게 살아가나요?_어촌 산간 마을에서는 어떻게 살아가나요?_산지촌 촌락에는 왜 할머니, 할아버지만 계실까요?_촌락 문제1 왜 사람들이 촌락을 떠나고 있나요?_촌락 문제2 촌락을 '살고 싶은 곳'으로 바꿀 수는 없나요?_촌락 문제 해결 방안
서가브라우징
(발로 다니고 눈으로 읽는)사회 교과서 여행. 4 : 6학년 22008 / 여행이야기 글, 권수인 기획 / 웅진씽크빅
(발로 다니고 눈으로 읽는)사회 교과서 여행. 4 : 6학년 22008 / 여행이야기 글, 권수인 기획 / 웅진씽크빅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1], 경제편2012 / 글: 전혜은 ; 그림: 김미정 / 중앙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2], 민속편2012 / 글: 장하영 ; 그림: 유남영 / 중앙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3], 세계지리편2012 / 글: 엄정훈 ; 그림: 이유나 ; 만화: 김경옥 / 중앙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4], 역사편2012 / 글: 김동찬 ; 최윤선 ; 그림: 장정오 / 중앙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5], 정치편2012 / 글: 조선미 ; 그림: 송향란 / 중앙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6], 한국지리편2012 / 글: 박정애 ; 그림: 지영이 / 중앙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