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머리말

1부 민속음악 연행방식의 총체성과 세계관
연령층별 민요 부르기의 일생의례적 성격
1. 서론
2. 개체요를 분류·선택하는 접근 방식
3. 일생의례의 성격과 민요의 적층순환성
4. 민요의 교육과 활용을 위한 생태민요학
5. 결론
진도지역 상례를 통해서 본 의례와 놀이의 연행 미학
1. 총체극으로서의 진도상례
2. 죽음확인하기 혹은 죽음 알리기
3. 갈등 만들기와 죽음 달래기
4. 망자 보내기 혹은 갈등 해소하기
5. 상례놀이, 재생코드의 연행 의미
연행방식을 통해서 본 남도소리의 난장성
1. 서론
2. 남도소리와 판, 그리고 축제
3. 남도소리의 연행방식과 태도-끼워넣기와 겨루기
4. ‘판’으로서의 남도소리의 성격-난장성과 시나위성
5. 결론

2부 민속음악의 스토리텔링과 인터랙션
해물유희요의 스토리텔링과 섬사람들의 세계관
1. 해물유희요의 노래하기와 말하기
2. 해물유희요의 전승과 특성
3. 캐릭터의 스토리텔링과 굿판의 서사
4. 서남해 섬지역 굿판과 해물유희요의 세계관
닻배노래를 통해 본 어로요의 리듬 분화와 인터랙션
1. 서론
2. 닻배노래의 연행환경과 각편소리
3. 닻배노래의 리듬 분화와 인터랙션
4. 결론
민요의 혼자 부르기와 여럿이 부르기에 대하여
1. 혼자/여럿이 부르기에 주목하는 이유
2. 진도지역 유희요의 갈래 인식
3. 혼자 부르기와 여럿이 부르기의 말하기와 놀이하기 기능
4. 개체요와 단위요의 끼워 넣기와 겨루기
5. 남는 문제와 과제들

3부 타령과 춤, 그리고 의례
무안민속음악의 전통과 재창조
1. 들어가며
2. 무안반도의 장소적 특징과 문화접변
3. 무안민속음악 명인들의 음악전개와 부침浮沈
4. 무안민속음악의 재창조 전통과 지역성
5. 나가며
<진도북춤>의 유파별 특성을 통해서 본 놀이와 춤의 상관성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결과 및 논의
4. 결론 및 제언
남해신사 해신제 복원과 의례음악 연출 시론
1. 들어가며
2. 남해신사의 역사와 전통
3. 남해신사의 의례와 풍물구성의 전제
4. 의례음악 연출 방향
5. 마무리하며

4부 남도민속음악, 연행자와 연행판
서남해지역 민속음악의 무속기반과 재창조 전통
1. 들어가며
2. 서남해의 지리·문화적 범주
3. 서남해 민속음악 관련 무속 연행자와 신청神廳
4. 신청神廳 사람들의 활동과 산조음악의 전개
5. 서남해 판소리 광대와 창극 재창조 작업
6. 마무리하며
서남해지역 민속음악의 전개 양상과 연행자
1. 당제와 풍물연희의 전개
2. 민요와 민속놀이의 전개
3. 민속음악의 재창조 전통
소포만의 간척기 민속음악 변화연구
1. 서론
2. 소포만의 역사와 지리적 배경
3. 소포만의 간척과 새마을 운동
4. 무형문화재지정과 민속음악의 변화
5. 민속음악 변화의 시·공간적 맥락
6.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겨레의 노래 아리랑 겨레의 노래 아리랑 2023 / 지음: 김삼웅 / 두레
(김형관 피디의) 중국 조선족 아리랑 (김형관 피디의) 중국 조선족 아리랑 2017 / 지은이: 김형관 / 솔과학
아리랑의 문학 수용과 문화 창출 : 지역 민요의 생태와 문화지리 = Literature and creating culture based on Arirang : ecology and cultural geography of local folk songs 아리랑의 문학 수용과 문화 창출 : 지역 민요의 생태와 문화지리 = Literature and creating culture based on Arirang : ecology and cultural geography of local folk songs 2021 / 지은이: 박경수 / 민속원
경기도의 토속민요 경기도의 토속민요 2013 /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편 / 민속원
경기도의 토속민요 경기도의 토속민요 2013 /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편 / 민속원
조선민요 아리랑  : 민족의 가락, 애환의 선율 조선민요 아리랑 : 민족의 가락, 애환의 선율 2012 / 윤수동 지음 / 국학자료원
조선민요 아리랑  : 민족의 가락, 애환의 선율 조선민요 아리랑 : 민족의 가락, 애환의 선율 2012 / 윤수동 지음 / 국학자료원
남도민속음악의 세계  : 서남해에서 영산강까지 남도민속음악의 세계 : 서남해에서 영산강까지 2012 / 지은이: 이윤선 / 민속원
여성민요의 틈과 경계 여성민요의 틈과 경계 2021 / 지음: 이정아 / 한국학술정보
아리랑은 왜 명곡인가? 아리랑은 왜 명곡인가? 2020 / 지음: 정동화 / 이지출판
한국 민요의 미학  = Aesthetics of Korean folksong 한국 민요의 미학 = Aesthetics of Korean folksong 2015 / 지음: 정한기 / 박이정
아리랑 영웅  : 문화원형 스토리텔링과 콘텐츠의 고향  = Storytelling of Arirang 아리랑 영웅 : 문화원형 스토리텔링과 콘텐츠의 고향 = Storytelling of Arirang 2012 / 趙容晧 著 / 인터북스
아리랑 영웅  : 문화원형 스토리텔링과 콘텐츠의 고향  = Storytelling of Arirang 아리랑 영웅 : 문화원형 스토리텔링과 콘텐츠의 고향 = Storytelling of Arirang 2012 / 趙容晧 著 / 인터북스
한국문화와 그 너머의 아리랑  :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본 아리랑 한국문화와 그 너머의 아리랑 :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본 아리랑 2013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획 ; 신대철 편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한국문화와 그 너머의 아리랑  :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본 아리랑 한국문화와 그 너머의 아리랑 :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본 아리랑 2013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획 ; 신대철 편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국악교육의 지향과 민요의 교육적 활용 국악교육의 지향과 민요의 교육적 활용 2015 / 김혜정 지음 / 민속원
도서민요의 공동체와 구비연행 도서민요의 공동체와 구비연행 2012 / 지은이: 홍순일 / 민속원
소리꾼  : 득음에 바치는 일생 소리꾼 : 득음에 바치는 일생 2011 / 최동현 지음 / 문학동네
한국의 아리랑문화 한국의 아리랑문화 2011 / 편저자: 국제문화재단 ; 김태준 ; 김연갑 ; 김한순 / 박이정
한국문화와 그 너머의 아리랑  :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본 아리랑 한국문화와 그 너머의 아리랑 :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본 아리랑 2013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획 ; 신대철 편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휘모리 잡가  :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20호 휘모리 잡가 :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20호 2011 / 글: 홍은주 ; 사진:석인철 / 인천광역시
아랫녘 수륙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127호 아랫녘 수륙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127호 2017 / 글:국립무형유산원 / 국립무형유산원
조선 지식인의 악 사상 조선 지식인의 악 사상 2017 / 지음: 한지훈 / 아카넷
Traditional music  : sounds in harmony with nature Traditional music : sounds in harmony with nature 2011 / Korea Foundation / Seoul Selection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