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발간사
■ 역자 서문
■ 저자 서문
1장 서론
1.1 GPS의 개발 경위
1.2 지상위치 결정방법
1.3 G전파항법과 GPS/GNSS의 공통점
1.4 미래의 GNSS
1.5 GNSS의 이익
2장 GNSS의 이용과 측위신호
2.1 다양한 GNSS의 이용 분야
2.2 시스템으로서의 GNSS
2.3 GNSS의 위성신호
2.4 GPS 신호의 이용제한과 그 영향
2.5 GNSS 위성전파의 전달
3장 측지좌표계와 지오이드
3.1 GPS의 영향
3.2 지구타원체와 측지좌표계
3.3 지오이드
3.4 좌표 변환
3.5 표고결정
3.6 지각변동에 대한 대응: 세미 다이나믹 보정
3.7 제4의 좌표, 시간 시스템
4장 단독측위와 시각동기, DGNSS
4.1 단독측위의 원리
4.2 단독측위 정확도와 위성배치
4.3 시각동기(時刻同期)
4.4 단독측위의 응용분야
4.5 GNSS와 원리
4.6 GNSS의 실제 활용
5장 간섭측위(GNSS 측량)
5.1 간섭측위방식
5.2 간섭측위의 측정데이터
5.3 간섭측의 수신기의 구조
6장 간섭측위의 원리
6.1 반송파 위상의 조합
6.2 정수 바이어스의 결정
6.3 전리층과 대류권에 대한 전파 지연
6.4 대류권의 일반적 성질
6.5 GNSS 측량의 정확도
6.6 네트워크형 RTK방식
7장 간섭측위의 관측과 데이터 처리
7.1 간섭측위 절차
7.2 GNSS 측량의 기선해석
7.3 기선해석 결과의 평가
7.4 다른 기종 조합에 의한 간섭 측위
7.5 방송력과 정밀력
7.6 GNSS 관측망
8장 새로운 측위위성계 GNSS
8.1 NNSS(미국해군항법위성)
8.2 측위위성의 신호형식
8.3 GPS 근대화 계획
8.4 글로나스 근대화(GLONASS)
8.5 갈릴레오(Galileo)
8.6 준천정위성시스템
8.7 북두/컴퍼스
8.8 새로운 측위위성계로 무엇이 가능해지는가?
9장 참고자료, 약어표
9.1 참고자료
9.2 약어표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