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 근대 동아시아 번역총서' 2권. 일본의 근대문학 성립기인 메이지 시대의 미디어의 형성과 근대적 독자의 성립, 그리고 작가의 자기인식이라는 세 요소가 교착하는 역동적인 '문학장'의 관계성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밝힌다. '근대문학 성립기의 한 측면 저작권 의식의 관점에서'부터 '유통流通되는 '규수작가閨秀作家' 메이지 20년대(19세기 후반)의 경우'까지 총 9장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근대문학 성립기의 한 측면_ 저작권 의식의 관점에서 들어가는 말 '판권'을 둘러싼 인식 코요의 출판활동 코요와 저작권 의식
제2장 '문사文士'의 경제사정 _ 집필행위의 성(聖)과 속(俗) 들어가며 '문사보호론'의 주변 작가의 서명(署名) 집필자 집단·겐유샤
제3장 초기 겐유샤와 요시오카 서적점 들어가는 말 요시오카 서적점의 출판 상황 요시오카 서적점과 오자키 코요
제4장 「독자평판기」의 주변 들어가는 말 '평판(評判)'이라는 스타일 「독자평판기」의 성립 배경 독자상의 변천 나가며
제5장 백합과 다이아몬드 _『금색야차(金色夜叉)의 꿈』 들아가는 말 후일담(後日譚)이라는 위상 과거의 개변(改變) 이야기의 기원 강이치의 꿈
제6장 고스기 텐가이『마풍연풍魔風戀風』의 전략 왜 『마풍연풍魔風戀風』인가 '타락'이라는 틀 예정된 결여(缺如) 하쓰노는 누구인가 맺음말
제7장 '대화'의 생성 _ 이치요[一葉]의 장소로서의 신체 들어가는 말 교착(交錯)하는 시선 '대화'의 장(場)과 젠더 이야기/사기에 흠뻑 취하다
제8장 「통속서간문」의 가능성 「통속서간문」의 주변 규범으로부터의 일탈 미디어로서의 편지 나가는 말
제9장 유통流通되는 '규수작가閨秀作家' _ 메이지 20년대(19세기 후반)의 경우 들어가는 말 초상사진의 아우라 '규수작가'에 대한 시선 여성표현의 곤란함
근대 일본의 '국문학' 사상2014 / 지음: 사사누마 도시아키 ; 옮김: 서동주 / 어문학사
사상적 지진 : 강연집 III 2020 / 지음: 가라타니 고진 ; 옮김: 윤인로 / b
미디어의 시대 : 근대적 문학제도의 성립과 독서의 변천 = Media age : establishment of modern literature system and transition of reading culture2012 / 간 사토코 지음 ; 노혜경 옮김 / 소명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