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희에게는 음으로 양으로 늘 오해의 조각이 따라 붙었다. 사이비 사회주의자, 기자 나부랭이, 남으로부터는 빨갱이, 정권의 부침에 따라 흘러 다녔던 작가, 시종일관 기회주의자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최정희의 본질이고 전부일까? 한국여성문학학회가 총 30권으로 기획하고 소명출판에서 '여성작가총서'의 첫 번째로 내 놓은 이 책은 그간의 조각들을 털어내고 최정희의 복권을 토로한다.
목차
여성작가연구총서 머리말 _ 봉인된 편지 책머리에 _ 최정희의 복권이 의미하는 것
제1장 감정과 욕망의 아카이브 고향 단천은 계급층에서 탈출한 지역 기독교 사회주의의 영향 주체할 수 없는 끼 속에서 '레이조카이(令女界)의 사랑'을 꿈꾸며 사회주의 연극운동가 김유영과의 슬픈 만남 '게니아식 연애'의 거부-여성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 1 신간희 해소파로서 '여인문예가클럽' 주창 국가 폭력에 희생되다-신건설사 사건 1차 전향 : 삼맥 시대-여성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 2 파인 김동환의 '등록 없는 아내'가 되다 조선임전보국단의 간사로, 글과 강연으로 친일 협력 다시 경향적 소설을 발표하며-여성 지식인이 보는 농촌문제, 미국 문제 또 다시 국가폭력에 희생되다-B급 잔류파로서 남·북 양쪽으로부터 시달려 2차 전향-보도연맹과 공군작가단 사이 명동의 돌체와 명천옥에서 『조선일보』 1일 기자로 박정희와 면담 '여자된 자랑'을 말하여 화투에 몰두하기까지 패배와 구원, 숨김과 드러냄 사이에서
제2장 젠더 우선성의 여성주의 서사, 그 창출과 변형 1. 식민지 시기 1) '일과 사랑'에 대한 새로운 사회주의적 해석-'즐거운 당위' 2) '완전한 여성' 개념의 설정과 확대-모성과 여성성의 대립 극복 3) '제2 이등 국민-여성'의 주변부성 극복으로서의 친일서사 2. 해방 직후 신식민지 하 정치적 여성주체의 등장과 반미소설 계보의 창출 3. 전쟁기 반공주의·국가주의 결합의 차이-광인 만들기 및 여성 소거 4. 전후~4ㆍ19 1) 소녀의 탄생과 '반공주의 가부장제'의 창출 2) '아프레 걸 프로젝트'와 반공주의·옥시덴탈리즘의 결합 5. 4ㆍ19 이후 1) 전향자의 역사 다시쓰기-친일분자의 4·19 전유와 '독변변수로서의 젠더' 제거 2) 젠더의 비판성 소멸-중산층 여성의 여성성 3) 대립물의 포용으로서의 모성과 '거세' '죽음'으로서의 소년
제3장 젠더-'서사 원리'이자 탈식민의 '방법'
주석 참고문헌 연구 목록 작품 목록
서가브라우징
(한 권으로 보는 만화)우리 고전 강의2011 / 김문태 글 ; 위싱스타 그림 / 주니어김영사
움직이는 별자리들 = Mobile constellations : 잠재성 운동 사건 삶으로서의 문학에 대한 시론2019 / 지음: 김미정 / 갈무리
젠더 프리즘 : 김미현 비평집2008 / 김미현 / 민음사
김병익1998 / 성민엽 엮음 / 문학과지성사
새로운 글쓰기와 문학의 진정성1996 / 김병익 저 / 문학과지성사
한국 고전문학의 비평적 이해1996 / 김병국 저 / 서울대학교 출판부
한국문학과 풍토2002 / 김병택 저 / 국학자료원
"나는 여자다" = Gender as a method : 방법으로서의 젠더2012 / 지은이: 김복순 / 소명출판
숲에서 어린이에게 길을 묻다2002 / 김상욱 저 / 창작과 비평사
글로벌 시대의 문학2006 / 김성곤 지음 / 민음사
시간 속의 취재수첩1999 / 김순 지음 / 해성
문학체험과 감상2002 / 김영철 ; 이명희 ; 여지선 공저 / 건국대출판부
이미지의 정치학과 모더니즘 : 김기림의 예술론 = Image politics and modernism: an essay on the literature and art of Kim Kirim2013 / 지은이: 김예리 / 소명출판
이미지의 정치학과 모더니즘 : 김기림의 예술론 = Image politics and modernism: an essay on the literature and art of Kim Kirim2013 / 지은이: 김예리 / 소명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