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장
1.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2. 선행연구 검토와 내용체계
제1부 동서양 윤리문화 이해와 한국사회의 윤리문제
1장. 윤리문화 이해를 위한 기본개념
1. 도덕적 가치의 인격화
2. 윤리의 진위성과 윤리적 기준의 삶
3. 삶의 지혜로서의 윤리문화
4. 가치와 윤리
5. 절대론적 윤리의 회의
6. 도덕의 기준
7. 도덕적 판단에 있어 자연주의와 합리주의
2장. 동서 가치규범의식의 변천
1. 가치의 상대성과 절대성의 특성
2. 동양의 가치규범의식의 변천
3. 서양의 가치규범의식의 변천
4. 동서양의 규범문화에 나타난 정의윤리
3장. 유교윤리와 기독교윤리 비교
1. 유교와 기독교윤리에서 인간이해 비교의 중요성
2. 유교와 기독교에서의 인간이해
3. 인간관계의 윤리
4. 정치사회 윤리
4장. 성숙한 한국사회 윤리문화를 위한 현안과제
1. 동서 정의철학과 한국사회의 정의문화 과제
2. 지식정보화시대 가치문화의 혼돈과 윤리적 대응
3. 반부패의식과 제도로서 청백리의 규범문화
4. 생명과학의 도전과 인간의 정체성 문제
5. 정보화시대의 청소년가치관 교육
제2부 한국의 윤리문화사-보편윤리이념과 실천문화유형의 탐색
1장. 한국윤리문화의 개관
1. 윤리문화의 개념화
2. 한국 전통윤리문화 내용 개관
3. 한국 전통윤리의 종교 문화적 특징
4. 주요 민족종교에 나타난 상생가치 윤리의식
2장. 고대 윤리사상
1. 건국시대의 윤리문화 - 단군신화의 윤리사상적 이해
2. 『천부경』에 대한 민족윤리사상의 원리 재조명
3. 홍익인간의 윤리문화
4. 홍범구주와 전통적인 팔조법
3장. 삼국시대 윤리사상
1. 고구려시대 통치이념과 지도자상
2. 백제의 유불윤리문화
3. 신라의 공동체 윤리문화
4. 통일신라의 통합윤리사상
4장. 고려시대의 윤리사상
1. 정치윤리문화
2. 문치정책과 윤리교화
3. 유불문화의 혼재와 사회적 기능의 한계
4. 통치윤리의 부재와 혼란
5. 유교윤리의 회복과 선비상의 구현
5장. 조선시대의 윤리사상
1. 숭유억불정책을 통한 새로운 윤리사상 확립
2. 조선 창건 통치윤리의 기본방향
3. 세종시대 윤리문화 부흥
4. 성리학적 윤리문화 발전
5. 실학의 윤리문화
6장. 근대 서구의 도전과 응전시대의 윤리문화
1. 서구사상의 유입과 위정척사에 나타난 민족의 정신문화
2. 동학사상에 나타난 주체적인 응전의 윤리문화
3. 개화사상과 윤리문화
4. 독립운동과 민주시민 윤리문화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