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현대사학회가 만든 첫 한국현대사 교양서. 한국현대정치사 전문가인 양동안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6.25전쟁사 전문 연구자인 양영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한국근현대경제사 연구자인 주익종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등 3인이 대한민국의 건국과 호국(護國), 부국(富國)을 각기 나누어 맡았다.
목차
제1부 대한민국을 세우다
제1장 덮씌워진 분단
1. 연합국의 조선 독립 계획과 38선 획정
2. 소련군의 북한 점령
3. 미군의 남한 점령
4. 모스크바협정과 찬ㆍ반탁 투쟁
제2장 차선책, 남한만의 자유민주국가
1. 소련의 일방적인 북한 사회주의화
2. 남한 정부 수립의 불가피성
3. 모스크바협정의 최종 파탄과 한국문제의 유엔이관
4. 유엔의 한국문제 결의
제3장 대한민국의 건국과 그 민족사적 의의
1. 공산주의세력의 유엔결의 실행 저지공작
2. 대한민국의 건국
3. 대한민국 건국의 민족사적 의의
4. 세계 자유진영의 일원이 되다
제2부 대한민국을 지키다.
제4장 북한의 6·25 남침
1. 38선 충돌이 전쟁으로?
2. 북한ㆍ소련ㆍ중국의 남침 준비
3. 이승만의 안보전략, 북진통일론
4. 남한의 허술한 안보태세
5. 북한의 전면 남침
제5장 국군과 유엔군은 어떻게 싸웠나
1. 유엔군의 구원 참전
2. 반격 : 인천상륙작전과 낙동강전선 반격
3. 중공군과 소련군의 참전
4. 지루한 휴전협상과 고지전(高地戰)
5. 정전협정과 한미 상호방위조약의 체결
제6장 대한민국 국민의 탄생
1. 북한식 공산주의 통치의 경험
2. 대한민국 국민 되기
3. 북한민의 공산주의 체제 이탈
4. 불안한 휴전체제
5. 전후 복구와 경제재건 노력
제3부 대한민국을 부강하게 하다
제7장 박정희 정부의 복합적 산업화전략
1. 1950년대 최빈국 의존경제
2. 조국근대화를 자임한 박정희 정부
3. 수출지향공업화 정책
4. 중화학공업의 건설 육성 정책
제8장 제조업 강국의 탄생
1. 소재 국산화의 출발, 울산 석유화학공업
2. 개발도상국의 꿈, 종합제철업
3. 출발은 미약했으나 끝은 창대, 전자공업
4. 담대한 도전, 자동차공업
5. 침몰위기를 이겨내고 세계정상에, 조선공업
제9장 세계사적 위업
1. 세계의 모범이 된 경제성장
2. 따라잡기(catch-up)에 성공
3. 성장의 그늘 논란
4. 1980년대의 안착
제4부 다른 길 : 북한 현대사
제10장 수령유일체제와 권력세습
1. 초기 권력구조
2. 대숙청과 유일체제화
3. 권력세습
제11장 자력갱생경제의 파탄
1. 사회주의경제건설과 초기의 성과
2. 유일체제와 경제쇠퇴
3. 대기근과 아사사태
4. 만성화된 경제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