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2011년 <가디언> 올해의 책 선정작. 흥미로운 주제, 날카로운 통찰력, 유려한 필치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과학자이자 철학자 로버트 P. 크리스의 신작. 과학 분야에서 종교만큼이나 뜨겁고 논쟁적인 주제인 도량형 문제를 사회문화, 정치, 역사, 과학사적 측면에서 흥미진진하게 그렸다.
목차
머리말 정오를 알리는 대포 소리
1장 다빈치의 「인체 비례도」
임시방편 척도
세 가지 요건
의자 쿠션으로 음향을 측정하다
세상 만물이 척도가 되던 시절
단위의 비율
표준과 권력
상징적 의미
측정은 세계화를 가장 극적으로 보여준다
2장 고대 중국, 도량형과 음악
제례, 음악 그리고 권력
척도는 우주적 질서를 표현한다
정확성의 정쟁
실세계 물리학과 음향학의 접목
3장 서아프리카, 금분동
아칸족의 저울추
서구인의 시각
금분동은 아칸족 지식의 총체를 담은 백과사전
톰 필립스: 금분동은 아칸족의 조각품
지구상에서 가장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상호 측정 체계
4장 프랑스, 일과 삶의 현실
프랑스 국가 기록원의 표준기
무질서와 지리멸렬
일과 삶의 현실에 뿌리박은 전통 도량형
측정은 근대세계의 핵심 조건
장소에서 공간으로,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으로
자연 표준을 찾아서
길이도 하나, 무게도 하나
프랑스 혁명
모든 시대를 위해, 모든 사람을 위해
5장 보편 측정을 향한 첫걸음
미터법은 어떻게 보편성을 얻었나
영국은 왜 미터법을 쓰지 않았나
미국의 딜레마
퍼디낸드 해슬러
“미터법은 인간의 창의력이 만들어낸 최고의 발명”
프랑스: 불편한 동거
6장 현대 문명의 위대한 업적
1851년 만국박람회
“표준 전쟁은 끝났다. 승자는 미터다”
국제미터위원회
미터법의 세계화
중국: 아편전쟁
서아프리카: 아샨티 전쟁
7장 메트로필리아 대 메트로포비아
반대하는 사람들
피라미드는 고대의 신성한 자연 측정 체계다
부정과 무신론의 자식
미터빠와 미터 오류
옛 측정 단위의 흔적
8장 뒤샹 씨, 농담이죠?
마르셀 뒤샹의 「정지한 세 표준」
과학에 대한 불안
예술과 일상적 사물의 경계를 허물다
미터를 조롱하다
측정조롱학
9장 최종 표준의 꿈
기이한 천재
찰스 샌더스 퍼스의 성장 배경
단위 체계와 정확성
자연 길이 표준
빛의 파장과 미터
퍼스의 과학관
마이컬슨과 몰리
되살아난 꿈
10장 국제단위계
최초의 자연 표준 후보
1미터라고도, 1미터가 아니라고도 말할 수 없는 것
미터법은 프랑스 군대의 총검 뒤에서 행진했다?
미사일 격차와 측정 격차
국제단위계
11장 현대 측정경관
측정의 사회적 의미
헨리 드라이푸스의 조와 조제핀
현대 세계는 측정경관이다
인체 측정
삶의 질
측정경관의 그림자
12장 킬로그램이여, 안녕
국제 킬로그램원기는 부동의 표준?
표준이 오르락내리락
공인가?
저울인가?
‘새 국제단위계’를 향해
절대 측정의 꿈
후기
감사의 글
옮긴이 후기
후주
그림출처
QR코드의 웹페이지 주소
주요 인명, 단체명, 문헌명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