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PART 0NE 아이들이 죽어가고 있다
Section 1 10대라는 형벌
집과 학교는 감시와 통제의 감옥
솔직히 부모님이 말을 많이 걸어줬으면 좋겠어요
어른들이 경쟁 사회 만들고 잔소리해요, 놀고 싶어요
엄마랑 하는 말은 ‘밥 줘, 배고파, 추워’ 그런 정도예요
학교가 감옥인가 / 김용택[시인]
Section 2 시험 앞두고 이상해지는 아이들
중3 은우의 ‘숨 막히는 하루’
시험 닥치면 ‘돌변하는 아이들’
한국 가정은 대입 프로젝트 공동체
‘천재 한 명이 수십만을 먹여살린다’는 망령부터 추방하라 / 엄기호[인권연구소 창 활동가]
Section 3 아이들이 죽어가고 있다
나도 네 나이 때 겪어봤어, 아무것도 아니야
아이들은 사소한 것에도 좌절한다
부모의 기대에 따라 사느라 쉽게 무너지는 아이들
그저 공부나 하라고? 다 놓아버리고 싶어…… 도와주세요
엄마 때문에 불행해요, 죽고 싶었죠
친구들아, 힘들면 말하고 글로 남기자 / 문한뫼[중학교 3학년생]
PART TWO 학교 폭력과 왕따
Section 4 일그러진 그들 ‘일진’
학교 내 비공식 권력, 일진회
한번 때리면 손맛이 있어 끊을 수가 없어요
일본의 중학생 폭력 집단 닮은 일진회
중3 일진 장동준 군의 24시
학업 포기한 일진 민기의 하루
‘나 대화법’이 학교 폭력을 줄일 수 있다
학교 폭력은 어른들이 눈치채기 어려운 ‘이상한 범죄’ / 문용린[서울대 교수]
Section 5 사회에서 왕따 당한 10대
무한 경쟁의 강자 독식 사회에서 아이들은 탈출구가 없다
아이를 제대로 키우는 시스템이 망가진 한국 사회
학교 폭력을 예방하려면 학교 밖 사회 폭력을 멈춰야 한다
가해자를 없애는 처벌보다 피해자를 없애는 대책을
가해자와 피해자를 함께 치유하는 것이 ‘교육’이다 / 정병오[좋은교사운동 대표]
Section 6 어른들이 미안하다
갑자기 말수 줄고, 짜증 늘고, 과격해지면 ‘충동 신호’
어른들이 미안하다
‘IMF세대’ 아이들의 극단적 선택
그 정도로 힘들 줄이야……
“나는 어떤 엄마니?” 묻고 싶은데, 돌아올 답이 두려워요
네가 못나서 그런 게 아니야
10대들을 향한 진정한 사과가 먼저다 / 김현수[성장학교 ‘별’ 교장]
PART THREE 어른들은 몰라요
Section 7 엄마, 아빠, 선생님의 착각
엄마에겐 말 안 해요, 이해를 못해주니까
학업 스트레스, 학생들의 절망을 아십니까?
학교 폭력 징후 나타나도 교사는 대응 못했고, 부모는 의미를 몰랐다
따돌림 근절 호소한 학생을 질책한 담임, 대책 팽개친 학교
학교 폭력, 교장이 나서야 한다 | 이범 서울시 교육청 정책보좌관
Section 8 엄마와 아이, 적인가 동지인가
그림 속에 아이의 ‘아픔’이 있어요
엄마와 분리 원하는 아들, 주도권 쥐려는 엄마
성환이와 엄마, 상담센터에 가다
청소년에게 진정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 / 신의진[연세대 소아정신과 교수]
Section 9 10대 은어, ‘화성인’과의 대화
자녀들의 은어, 얼마나 알고 있나요?
센케가 과자 이름 아닌가요?
우리가 은어를 쓰는 이유요?
‘나’와 다른 ‘남’을 인정하기 / 이주향[수원대 교수]
PART FOUR 우리는 행복해지고 싶다
Section 10 상담 창구에 비친 아우성
무리 안에 속하기 위해 ‘빵셔틀’도 군말 없이 감수해요
공부보다 공부 강요하는 부모 때문에 힘들어해요
사소한 관심만 보여도 자살을 막을 수 있어요
가해 학생에게는 처벌보다 치유 프로그램이 필요해요
가해자와 피해자가 만나 고통을 나누고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Section 11 격려 한마디에 마음이 편해졌어요
열네 살 성은이가 달라졌다
내게 다시 기회를 주기로 했어요
열여섯 상혁이와 민하의 ‘일진 탈출기’
역할 바꿔보니 맞은 친구 심정 이해돼요
고2 임현성 군의 편지
10대의 위기, 부모가 나서서 해결하자 / 구본용[한국청소년상담원 원장]
Section 12 우리는 행복해지고 싶다
조그만 일로도 충분해요, 우리 행복은 어렵지 않아요
친구야, 내 얘기 좀 들어줘
꿈을 앗는 경쟁 시스템
교사의 자발성과 학교 민주화가 관건이다 / 김대유[경기대 겸임교수]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