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심포지온』의 등장 인물
Ⅰ 『쉼포지온』이란 무엇인가
1.『쉼포지온』의 서론
2.『쉼포지온』의 저술 시기
3. 쉼포지온(Symposion)
4. 에로스(Eros)
5.『쉼포지온』의 구조
6. 소크라테스(디오티마)의 논의와 다섯 논의의 관계
(1) 파이드로스의 논의와 디오티마(소크라테스)이 논의의 관계
(2) 파우사니아스의 논의와 디오티마(소크라테스)의 논의의 관계
(3) 에뤽시마코스의 논의와 디오티마(소크라테스)의 논의의 관계
(4) 아리스토파네스의 논의와 디오티마(소크라테스)의 논의의 관계
(5) 아가톤의 논의와 디오티마(소크라테스)의 논의의 관계
(6) 알키비아데스의 논의와 다른 논의들과의 관계
A. 아키비아데스의 논의와 디오티마의 논의의 관계
B. 알키비아데스의 논의와 앞선 논의자들과의 관계
C. 사랑하는 남성으로서 알키비아데스와 다른 논의자들의 사랑하는 남성
Ⅱ 『쉼포지온』의 해설
1. 『쉼포지온』의 도입부(172a-174a)
2. 아리스토텔레스의 서언(174a-178a)
3. 파이드로스의 논의(178a-180b)
4. 파우사니아스의 논의(180c-185c)
5. 첫 번째 막간(185c-e)
6. 에뤽시마코스의 논의(185e-188c)
7. 두 번째 막간(189a-c)
8. 아리스토파네스의 논의(189e-193d)
9. 세 번째 막간((193d-194e)
10. 아가톤의 논의(194e-197e)
11. 네 번째 막간(198a-199c)
12. 소크라테스와 아가톤의 논쟁(199c-201d)
13. 소크라테스(디오티마)의 논의(201d-212c)
소크라테스의 서언(201d-201e)
(1) 에로스의 본성(201e-204c)
(2) 에로스의 역할과 영향(204d-212a)
A. 낮은 단계의 비의(204a-209e)
B. 높은 단계의 비의(210d-212a)
14. 다섯 번째 막간(212c-215a)
15. 알키비아데스의 논의(215a-222c)
16. 결말(222c-223d)
후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