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중동연구소 HK사업단 연구총서. 입헌혁명 이후의 「종속과 저항」의 현대사를 정리한 것이다. 저자는 이란의 역사적 흐름을 끊임없이 좌우해 온 구미열강의 거듭되는 개입과 지배, 그 수용과 반발을 통해 형성된 이란의 국가권력, 그것에 대한 국민적 저항운동의 전개에 초점을 맞추어 종속과 저항의 역사를 논하고 있다.
목차
역자 서문과 일러두기 / 3
들어가며/ 6
차 례/ 10
서 론/ 13
제1장 19세기 제국주의 시대 하의 이란/ 30
1. 카자르조와 이란 사회 / 31
2. 종교세력의 동향과 구조적 변화 / 36
3. 19세기 전반의 영·러 진출과 이란의 종속화 / 39
4. 근대화 정책과 종교적, 민족적 저항의 시작 / 43
5. 매국정치와 연초불매운동 / 50
제2장 입헌혁명의 전개와 정치 위기의 심화/ 56
1. 입헌혁명의 발생 / 57
2. 입헌파의 분열과 영·러 협상 / 63
3. 시민 무장봉기의 전개 / 71
4. 혁명의 종언과 영·러 지배 / 74
제3장 제1차 세계대전과 전후 이란의 혼돈/ 83
1. 제1차 세계대전 중 이란의 민족운동 / 85
2. 1919년 영국-이란 협정 / 93
3. 북부 혁명정권의 성립 / 96
제4장 레자 샤 독재왕정의 성립과 변화/ 102
1. 1921년 쿠데타와 영국의 음모론 / 103
2. 팔레비 왕조 창설 과정 / 108
3. 레자 샤 정권 하의 근대화와 이란의 변용 / 113
4. 레자 독재의 강화와 저항운동 / 117
5. 영·소 양극구조 독재의 종언 / 124
제5장 석유 및 냉전과 민족적 저항/ 130
1. ‘점령’후의 이란 사회와 정치 / 130
2. 석유이권 논쟁과 냉전의 개막 / 133
3. 북부 자치요구 운동의 전개와 종언 / 137
4. 석유국유화운동의 전개와 좌절 / 143
제6장 ‘개혁’ 지향의 독재와 미국, 그리고 저항운동/159
1. 샤 독재와 미국 / 160
2. 농지개혁과 백색혁명 / 165
3. 6월 봉기와 호메이니의 대두 / 173
4. 독재의 권력적 지주와 사회․경제문제 / 179
제7장 혁명, 전쟁과 ‘당파 대립’의 격화/ 185
1. 이란 혁명의 전개 / 186
2. 호메이니 지배체제의 성립 / 191
3. 이란-이라크 전쟁의 양상 / 196
4. 포스트 호메이니 체제와 ‘당파 대립’ / 202
5. 9.11의 여파, ‘핵 의혹’과 이란의 현재 / 212
후 기/ 218
주 석/ 222
찾아보기/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