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비타 악티바 개념사’ 시리즈의 스무 번째 권. 모호하고 위험한 개념 ‘자본주의’를 이해하는 하나의 길을 제시한다. 지구정치경제의 구조와 자본주의의 본질에 대한 비판적 사유를 개진해온 학자 홍기빈은 ‘자본’을 정의하는 세 가지 관점, 즉 생산, 화폐, 권력이라는 세 가지 열쇳말을 방향타로 삼아 ‘자본주의’라는 미궁을 헤쳐 나갈 것을 제안한다.
목차
1장ㅣ자본과 자본주의-두 개의 수수께끼
1. 말썽꾸러기 용어 '자본주의'
2. 계급 사회로서의 자본주의의 정의
3. 자본주의와 시장 경제
4. 자본, 자본가, 자본주의
자본이라는 수수께끼
'자본'을 딛고 '자본주의'로
-깊이 읽기ㅣ케임브리지 논쟁
2장ㅣ자본주의의 발생과 발전-화폐, 생산, 권력
1. 화폐 경제의 발생
2. '자본'의 발견
영국의 농업 자본주의-울타리치기와 'improve'
'자본'과 '이윤'의 발견
3. 권력과 자본주의
중상주의 국가와 금융
중상주의 국가와 독점 기업
자유방임 자본주의로의 전환
-깊이 읽기ㅣ자본주의 이행 논쟁
3장ㅣ고전적인 자본주의 이론들
자본-생산이냐 돈벌이냐 권력이냐
1. 생산으로서의 자본-리카도와 마르크스
생산의 주역, 기계
데이비드 리카도
카를 마르크스
2. 화폐로서의 자본-좀바르트와 베버
19세기 독일의 맥락
베르너 좀바르트
막스 베버
3. 권력으로서의 자본-브로델과 베블런
독점 자본주의 시대
페르낭 브로델
소스타인 베블런
-깊이 읽기ㅣ'자본 대 사회'의 모순과 자본주의
4장ㅣ21세기와 자본주의의 역사적 경향
1. 예언(들)은 실현되었는가-지금까지의 경험
산업 자본주의는 침체하게 되는가
자본주의에 맞서는 사회 세력이 필연적으로 출현하는가
금융 자본주의는 부활했는가
자본주의와 자본주의 아닌 것의 경계선은 어디인가
'창조적 파괴'는 생태적 위기라는 한계를 만난 것인가
2. 결론을 대신하여-생산, 화폐, 권력의 결합체로서의 자본주의
읽어야 할 책들
개념의 연표-자본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