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건국 60주년을 반(反)기념하기 위해 2008년 8월 국제학술회의 'Modern Korea at the Crossroads between Empire and Nation'을 개최하였다. 이 책은 국제학술회의의 성과물을 수정.보완한 것으로 임지현을 비롯해 박노자, 황병주 등 12명의 전문학자들이 트랜스내셔널한 시각에서 근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분석한 것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반(反)기념’의 역사학을 위해
1부 제국을 욕망하는 역사적 상상
근대계몽기 ‘국민’ 담론과 ‘문명국가’의 상상 : 《태극학보》를 중심으로 / 정선태
1. 머리말
2. 위기의 시대, 독립 국가의 길
3. 국가 유기체론과 애국심의 '자연화'
4. '국민'교육과 '국민'의 언어
5. 맺음말
민족의 위대성과 타민족의 정복 : 안확의 민족담론 / 박노자
1. 머리말: '황금기'의 복원
2. 조선인'민족성'에 대한 논의
3. '우리'의 긍지: 전쟁과 전투성
4. '무사정신'의 고향, 고구려
5. 맺음말: '무사적 민족론'의 뿌리와 열매
황군의 사랑, 왜 병사가 아니라 그녀가 죽는가 : 〈조선해협〉, 기다림의 멜로드라마 / 이영재
1. 머리말: 징병제하의 지원병-"우리들 새로이 병사로 부르심을 받아"
2. "보람 있게 죽자": 피식민지인 병사라는 것
3. 징병제의 시간, 멜로드라마의 시간
4. 우울로부터 멜로드라마로: 미워도 다시 한번,1943
5. 떠나는 남자, 기다리는 여자
6. 얼굴 클로즈업, 그녀는 죽을 것이다
7. 맺음말: 야인의 공포와 국민의 사랑
근대 한국의 역사 서술과 타자화된 여진족 / 정다함
1. 머리말
2. 근대 한국사학의 고구려-고려'제국'만들기와 여진의 '타자화'
3. 조선-여진 관계에 대한 근대 한국 역사학의 딜레마
4. '교린'이라는 틀 속에 숨겨진 민족주의의 욕망
5. '주변부의 작은 중화'를 지향한 조선 왕실의 여진 정책
6. 명의'중화'모델의 조선적 변용: 흠차관과 경차관
7. 맺음말
2부 반식민과 탈식민의 경계에서
식민지 시기 ‘현모양처’론과 ‘신여성’ / 홍양희
1. 머리말
2. '신여성'의 등장과 현모양처 비판
3. 현모양처 논리의 재구성
4. 현모양처론의 '전통'적 재현
5. 맺음말
식민지 조선의 ‘만주’ 담론과 정치적 무의식 : 문학평론가 임화의 1940년대 전반의 논의를 중심으로 / 와타나베 나오키
1. 머리말
2. 1930년대 농민문학에 대한 평가
3. 영화사론과 제작 주체로서의 '조선
4. 다시 서사시로: 영화 <복지만리> 를 둘러싼 상상력
5. 맺음말
해방공간과 전석담의 역사 인식 : 근대 국민국가로의 이행과 마르크스주의 역사학 / 오웬 밀러
1. 머리말
2. 역사 연구의 이론에 대한 두 개의 글: 백남운에 대한 전석담의 비판
3. 비교사적이고 비평적인 시각에서 바라본 전석담의 역사학
박정희 체제 근대화 담론의 식민성 / 황병주
1. 머리말
2. 탈식민과 후진성 콤플렉스
3. 근대화와 민족의 타자화
4. 서구화 비판 담론의 식민성
5. 맺음말
탈식민주의 페미니스트의 기지촌 ‘여성’ 읽기 / 이나영
1. 머리말: 기지촌 여성과 재현의 정치학
2. 식민지 주체/타자의 구성 양식과 민족주의, 젠더 이데올로기
3. 식민 지배자/피식민지자 남성주체와 여성 타자 만들기
4. '여성'에 대한 분리와 규율 전략: 민족국가 건설 과정 속에서
5. 기표의 '고정 불가능성': 민족주의와 재현의 정치학
6. 맺음말
3부 트랜스내셔널 코리아
이주노동자 운동과 트랜스내셔널 코리아 / 이진경
1. 머리말: 한국은 다인종 이민 국가인가 또는 글로벌화된 트랜스 국가인가
2. 인종차별 국가와 다문화주의 국가
3. 모델로서의 한국의 노동운동: 하위 제국주의적 보편주의
4. 이주노동자들의 저항 전략
5. 맺음말
누가 민족문학을 두려워하랴 : 트랜스내셔널리즘 시대의 민족문학론 / 윤성호
1. 머리말
2. 자기동일성의 자명성을 넘어서
3. '미국적 예외성(American Exceptionalism)'을 넘어서
4. 트랜스내셔널 전환에 비춰본 민족문화론
해외동포를 겨냥한 초국가적 정책 : 문화 정체성 형성,세계화,‘같은 민족’으로서의‘동포’라는 개념 / 손희주
1. 머리말
2. 해방 후 한국의 문화 정책과 문화 정체성 형상화
3. 담론과 개념의 위치시키기: 세계화와 '동포'
4. '같은 민족'으로서의 '동포'라는 개념
5. 맺음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