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견과 오해 속에 가려져 있던 의자왕과 계백의 진실 찾기. 백제후기 역사를 대표하는 의자왕, 계백을 재조명했다. 그동안 사료 부족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던 백제사를 살펴본 가람기획의 '백제를 이끌어간 지도자들의 재발견' 시리즈 두 번째 책으로 기존에 알려져 있던 백제후기사, 특히 의자왕과 계백을 다른 시각으로 살펴보았다.
목차
들어가면서
1 . 설화와 전설에서부터 엇갈린 의자왕과 계백 있지도 않았던 삼천궁녀 의자왕을 모욕하는 그 밖의 전설들 편견으로 왜곡된 전설 병 주고 약 주는 전설 편견의 뿌리 꿈보다 해몽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반전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설화 칭송일색 계백 설화 설화는 이렇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2. 의자왕 시대의 실상은 어땠을까? 의자왕의 인간성에 대한 당대의 평가와 치적 백제와 신라 누가 몰리고 있었을까? 신라 측 전력의 한계 위기에 몰리던 쪽은 신라였다 실책은 엉뚱한 곳에 지도자의 선택과 국가의 운명 사비함락이 백제멸망은 아니었다 나비효과 의자왕의 항복이 자기희생적? 너무 미화할 필요는 없다
3. 계백을 띄워라 무엇 때문에 계백을 각별하게 챙겼을까? 긍정적일 수밖에 없는 계백에 대한 평가 계백의 말, 정말 계백이 했을까? 계백이 정말 전황을 비관했을까? 계백이 이끌었던 부대는 결사대가 아니었다 칭송만이 능사일까? 지세를 잘 이용했다? 훈시를 잘 했으니 명장? 휴머니즘이 가득한 전장? 휴머니즘으로 둔갑한 전략적 계산 오욕의 수치스런 삶이 된 충상과 상영 납득하기 어려운 죄목들 포로가 되었다는 죄 충상과 상영은 영웅일 수도 있다!
4. 실제 황산벌 전투는 어떻게 진행되었을까? 당의 입장과 전략 신라군은 왜 따로 움직였을까? 신라군은 보급부대였다 백제의 대응전략에 갈등이 있었다? 의직도 생각이 있었다 상영의 계산 백제의 전략 실전은 어떻게 진행되었을까? 백강 방면의 사정과 전투상황
5. 의자왕을 매도한 역사학자들 의자왕의 성격이 교만 때문에 변했다? 대중문화에서의 확인사살 백제가 외교전에서 실패했다? 천자의 뜻을 거역한 죄? 백제가 망한 원인이 오만 때문? 외척의 횡포가 결정타였을까? 의자왕이 침공의 낌새도 눈치 채지 못했다? 의자왕이 술과 향락에 빠져 있었을까?
6. 역사학자들이 실추시킨 백제의 이미지 사택지적의 정계은퇴가 정치 탓? 역사가들이 만들어낸 간첩, 백제 좌평 임자 간첩활동을 한 인물은 조미갑일 뿐이다 혼란의 주범으로 몰린 백제 귀족들 백강을 막지 않았다는 말은 사실이 아니다! 탄현은 사정이 있었다 이중잣대
맺으면서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백제의 왕권2008 / 문안식 저 / 주류성출판사
漢城百濟의 誕生2002 / 朴淳發 저 / 서경문화사
(한권으로 읽는)백제왕조실록2004 / 박영규 지음 / 웅진닷컴
백제이야기1999 / 박현숙 지음 / 대한교과서
칠지도 명문 : 고대 한일 관계의 비밀을 푸는 열쇠2016 / 지음: 박호균 / Book Lab(북랩)
칠지도 명문 : 고대 한일 관계의 비밀을 푸는 열쇠2016 / 지음: 박호균 / Book Lab(북랩)
칠지도 명문 : 고대 한일 관계의 비밀을 푸는 열쇠2016 / 지음: 박호균 / Book Lab(북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