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년 우리 문학의 현장을 점검하고 지키며 끌어온 문학평론가 김주연이 처음으로 아동문학 관련 평론집을 냈다. '45년 만의 외도가 너무나 즐거웠다'는 그의 평론집 <그림책 & 문학읽기>는 그 말대로 즐거움이 넘친다. 저자는 숲 속으로 놀러간 조그만 여자 아이와 동물들의 만남에서 릴케의 실존주의를 꺼내고, 영문 모르고 집에 혼자 남겨진 남자 아이의 불안에서 표현주의의 정수를 캐낸다.
목차
책을 내면서
1부 훌륭한 그림책, 문학 1 문학이란 무엇인가 2 낭만주의와 『호두까기 인형』 3 낭만적 서정의 세계와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기적의 시간』 4 페미니즘과 『돼지책』『종이 봉지 공주』『제랄다와 거인』 5 계몽주의와 『더벅머리 페터』『바다 건너 저쪽에는』
2부 그림책으로 보는 현대 문학의 흐름 6 초현실주의와 『벌거벗은 코뿔소』『이상한 화요일』 7 표현주의와 『빨간 나무』『달라질 거야』 8 실존주의와 『나랑 같이 놀자』『변신』『100만 번 산 고양이』 9 프로이트와 꿈, 『고릴라』『괴물들이 사는 나라』
3부 문학의 샘과 뿌리 10 우주적 상상력과 신화 이야기 『신화 속 괴물』『나는 우주 어디에 있는 걸까?』 11 기독교와 자연의 섭리, 『하나님이 너를 주셨단다』『무슨 일이든 다 때가 있다』 12 전래동화와 신비주의 『당나귀 공주』『롬펠슈틸츠헨』 13 명작과 그림책 『로미오와 줄리엣』
주
서가브라우징
정치적 글쓰기의 멜랑콜리 : 신채호와 발터 벤야민을 중심으로2017 / 김용하 지음 / 서강대학교출판부
여자에게 어울리는 장르, 추리소설 : 시체가 아닌 탐정이 되기로 한 여자들 2022 / 지음: 김용언 / 메멘토
구체적인 어린이 : 어린이책을 읽으며 다정한 어른이 되는 법 2024 / 지음: 김유진 / 민음사
아득한 회색, 선연한 초록 : 金允植 학술기행2003 / 김윤식 지음 / 문학동네
새벽 2시, 페소아를 만나다 : 나를 묻는 밤의 도서2016 / 지음: 김운하 / 필로소픽
동심이 발견한 세상 : 김이구 평론집 2023 / 지음: 김이구 / 창비
페미니즘 소설 읽기2003 / 김정매 저 / 한국문화사
그림책 & 문학읽기 : 그림책 속에서 문학을 발견하다2011 / 김주연 지음 / 루덴스
문학, 영상을 만나다2010 / 김주연 지음 / 돌베개
문학, 영상을 만나다2010 / 김주연 지음 / 돌베개
거짓말하는 어른 : 김지은 평론집2016 / 지은이: 김지은 / 문학동네
거짓말하는 어른 : 김지은 평론집2016 / 지은이: 김지은 / 문학동네
어린이, 세 번째 사람 : 김지은 평론집2017 / 지은이: 김지은 / 창비
어린이, 세 번째 사람 : 김지은 평론집2017 / 지은이: 김지은 / 창비
동화, 영혼의 성장2016 / 지은이: 김혜연 / 채륜서
같은 주제의 책
내가 사랑한 첫 문장 : 오랫동안 잊히지 않는 세계문학의 명장면2015 / 윤성근 지음 / my
거짓말하는 어른 : 김지은 평론집 2019 / 지은이: 김지은 / 문학동네
우리가 사랑한 소설들 : '빨간책방'에서 함께 읽고 나눈 이야기2014 / 지은이: 이동진 ; 김중혁 / 예담
나는 오늘도 하드보일드를 읽는다2015 / 김봉석 지음 / 예담(위즈덤하우스)
나와 청소년문학 20년 : 청소년문학의 개척자 박상률의 문학과 인생 이야기2016 / 지음: 박상률 / 학교도서관저널
다시 동화를 읽는다면 : 우리 시대 탐서가들의 세계 명작 다시 읽기2014 / 지음: 고민정, 김응교, 김진애, 안미란, 황경신, 류동민, 이정모, 홍한별, 우석훈, 오영욱, 안소영, 김혜리, 정혜윤, 고민정, 권오준, 김용언, 장석준, 이용훈 / 반비
소설이 국경을 건너는 방법2018 / 지음: 정영목 / 문학동네
어린이, 세 번째 사람 : 김지은 평론집2017 / 지음: 김지은 / 창비
松江 詩의 言語 : 컴퓨터 처리에 의한 詩歌 用例 索引 硏究1993 / 金興圭 著 / 고려대학교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