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일제강점기 한국과 일본의 「혹부리 영감」 영향관계의 구체적인 양상 및 전모, 내선일체라는 이데올로기의 도구로 동원된 민담의 성격, 그리고 해방 후 한국사회에서의 수용 형태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목차
서문
제1장 한국과 일본의 <혹부리 영감> 비교의 의의 및 과제
1. <혹부리 영감> 비교연구의 의의
2. 관련연구 검토 및 연구과제
(1) 한일 민담 비교연구의 두드러진 경향
(2) 한일 양국의 <혹부리 영감> 선행연구 검토
(3) 근대 교과서에 수록된 민담연구
제2장 한국과 일본의 <혹부리 영감>의 비교
1. 일본의 <혹부리 영감>의 유형 및 양상
2. 한국의 <혹부리 영감>의 유형 및 양상
(1) 도깨비 이야기에 있어서 <혹부리 영감>의 위치
(2) <혹부리 영감>의 유형
3. 한국과 일본의 <혹부리 영감> 비교
제3장 일본인 연구자에 의한 조선의 <혹부리 영감>의 「발견」과 확산
1. 조선의 <혹부리 영감>의 「발견」과 확산
2. <혹부리 영감>과 <도깨비 방망이>
제4장 일제강점기 보통학교 및 소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혹부리 영감>
1. 서언
2. 일본의 「소학독본」과 오대동화
3. 일본의 「소학독본」에 수록된 <혹부리 영감>
4. 일제강점기 보통학교 및 소학교 교과서의 <혹부리 영감>
(1) 「조선어독본」에 수록된 <혹부리 영감>
(2) 「국어독본」에 수록된 <혹부리 영감>
제5장 일제강점기 교과서에 수록된 <혹부리 영감>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1.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과 「내선일체」
2. 「조선어독본」 및 「국어독본」에 반영된 「내선일체」 이데올로기
3. 「내선일체」의 교재로 동원된 <혹부리 영감>
제6장 해방 후 한국사회에 있어서 <혹부리 영감>의 확산
1. 서언
2. 한국의 국어 교과서에 다시 등장한 <혹부리 영감>
3. 동화의 세계로 확산된 <혹부리 영감>
참고문헌
부 록 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