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 서정이란 무엇이었는가
1. 서론
2. 1920년대 신시, 월탄·안서 논쟁기 ‘서정’의 인식
1) ‘넓은 서정’의 유입 양상
2) ‘좁은 서정’의 공백과 ‘축자적(逐字的)서정’의 보충
3) ‘넓은 서정’과 ‘축자적 서정’의 착종과 혼선
4) ‘감정’의 탐구와 ‘시혼(詩魂)’·‘시령(詩靈)’의 개입
3. 1930년대 기교주의 논쟁기 ‘서정’의 분화와 확립
1) ‘좁은 서정’의 확립과 감정의 개방
2) ‘넓은 서정’의 확립과 시대정신의 투영
3) ‘서정’의 부정과 로맨티시즘의 극복
4) ‘좁은 서정’의 계승과 경향파 시의 거부
5) ‘순수’의 여러 모습과 의미
4. 1950년대 모더니즘 논쟁기 ‘서정’의 고착과 반성
1) ‘좁은 서정’의 부정과 ‘순수’의 옹호
2) ‘좁은 서정’의 확대와 ‘전통’의 옹호
3) ‘순수’·‘전통’의 재고와 ‘현대시’의 요청
4) ‘좁은 서정’의 고착과 미완성 ‘순수·전통 서정’
5) ‘좁은 서정’의 반성과 그 이후
5. 결론
[참고문헌]
제2부 : 근대시 형성과 변용
1. 근대계몽기 단형 서사 삽입 시가 연구
1) 서론
2) 대화에 의한 사건 진행과 4음보 시가의 삽입
3) 토론체 형식과 시가 삽입을 통한 주제 표출
4) 시가 삽입을 통한 서술 방식의 보완
5) 결론
2. 한국 ‘근대 장시(長詩)’의 특징과 형성
1) 서론
2) 장시(長詩)의 근대성, 근대성의 장시(長詩)
3) 서사시 지향의 장시(長詩)들
4) 내러티브 파괴와 파편적 이미지
5) 불완전한 현재와 시유하는 화자
6) 확장된 자아의 갈라진 자아
7) 결론
3. 김종길의 「산유화」론과 현대시의 ‘낙화’모티프 연구
1) 서론
2) 「산유화」의 균열과 ‘낙화(落花)’현상의 의미 변용
3) 현대시에서 ‘낙화(落花)’모티프의 변용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