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가부장제가 생겨나면서 여성적 삶의 한 형태로 존재하던 시집살이. 저자는 조선후기 이래 우리 역사의 이러한 배경을 근거로 여성의 실생활을 보다 입체적으로 살피기 위해서, 전승되는 노래 및 생존하는 80대 이상의 여성 생애담을 근거로 큰아기 시절, 며느리 시절, 시어머니 시절로 나누어 시기별 생활과 노래 부르기 양상을 정리하였다.
목차
이화연구총서 발간사
책머리에
Ⅰ. 시집살이 노래를 바라보는 시각
1. 시집살이 노래와 말하기의 욕망
2. 시집살이 노래에 대한 연구와 자료 소개
Ⅱ. 시집살이 노래의 형성 배경과 연행 양상
1. 시집살이 노래의 형성과 역사적 배경
2. 여성의 생애별 노래 부르기 양상과 연행방식
Ⅲ. 시집살이 노래에 나타난 텍스트 실현 양상과 말하기 방식
1. 시집살이 노래에 나타난 텍스트 실현 양상
2. 시집살이 노래에 나타난 말하기 방식
Ⅳ. 시집살이 노래로 대신한 말하기의 욕망
1. 균열의 목소리로 탄식하기
2. 주체와 타자의 경계에서 말하기
Ⅴ. 시집살이 노래에 나타난 여성 의식 - 경계에 선 그녀들
1. 타자와 주체의 경계에서
2. 딸과 며느리의 경계에서
Ⅵ. 시집살이 노래의 의미와 현재적 양상
1. 존재론적 자각과 자기 인식의 노래
2. 여성적 말하기의 현재적 양상
Ⅶ. 여성적 말하기의 다양한 변주
1. 시집살이 체험담에 나타난 균열의 목소리
2. 규방가사에 나타난 충돌하는 자아
3. 〈어사용〉에 나타난 슬픈 탄식
Ⅷ. 시집살이 노래에 대한 논의를 마무리하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