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_ 추임새를 기다리며
제1부 사물을 보는 시조의 눈
1장. 사물시조 읽기의 즐거움
사물시조와 소재 확장
시조에서의 사물
사물시조 개념
2장. 사물시조 분류와 작품 읽기
사물시조 분류
사물시조 작품 읽기
생활시조를 꿈꾸는 사물시조
3장. 시조의 신소재 사물로 살아남기
그냥 말하기
신소재로써 사물 넓혀가기
소재와 주제 살펴보기
펴보기 또는 논의
힘주어 말하기
제2부 일상에서 사물을 보는 즐거움
1장. 대상이 풀어헤치기와 여미기_ 정재호론
2장. 사물 속의 즐거움 캐기_ 차의섭론
3장. 사물시조의 멋 그리고 단수의 맛_ 김옥중론
4장. 무너뜨리기 또는 살짝 넘는 비약_ 윤삼현론
5장. 선비정신, 그리고 해학과 기지_ 용진호론
6장. 단단한 뼈, 사물의 대립의식_ 이한성론
7장. 일상의 서정이 깃든 진솔한 언어_ 김두원론
제3부 생각 넓히기와 사물시조 쓰기
1장. 좋은 현대시조에 대한 생각 넓히기
현대시조에 대한 비판적 디딤돌
시조다움에서 오는 진정미
현대시조의 흐름 따라가기
사물에 감도는 정서와 운율 지키기
2장. 시조, 이것만은 알고 쓰자
시조쓰기에서 알아야 할 점
좋은 시조 참고 자료
3장. 현대시조 쓰기, 어떻게 할 것인가
무엇이 문제인가
고시조와 현대시조 - 창작 태도 무엇이 다른가
현대시조의 두드러진 점 - 무엇을 알아야 할 것인가
현대시조의 창작 - 시대의 벽을 넘기
시조의 틀 바로 보기 - 형식, 다시 보자
지렛대 역할을 알자
4장. 시조의 기원, 형성, 소재, 주제에 대하여
머리말
시조의 기원
시조의 형성기
시조의 주제
맺는 말
제4부 현대시조의 기법과 미학
1장. 순수와 지조의 이중률_ 정소파론
2장. 기다림과 그리움의 미학_ 김정래론
3장. 꽃마음, 그 휴머니즘을 위하여_ 정덕채론
4장. 압축과 상징 그리고 토속 시학의 변주_ 문주환론
5장. 서정과 풍자와 만남의 시학_ 박태일론
6장. 인정과 교감, 그 친화력의 시학_ 이보영론
뒷말_ 뜻은 깊게 표현은 새롭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