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다시 보는 고소설사』를 펴내며
제1부 초기 소설사의 역동
소설사의 기점과 장르적 성격 논의의 성과와 과제 / 박일용
우언문학사와 초기소설의 관련 양상 / 윤주필
‘초기소설사’에서의 역사와 허구의 관련 양상 / 조현우
『금오신화』의 창작 방식과 의도 -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 / 전성운
제2부 17 ~ 18세기 고소설과 생활사
17세기 동아시아 전란의 소설적 수용양상 - 〈김영철전〉에 그려진 부부애의 성격을 중심으로 / 권혁래
17세기 서사문학을 통해 본 ‘성’의 문화 기호와 상상구조 / 최기숙
17 ~ 18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화폐경제의 사회상 / 이민희
18세기 도시의 발달과 소설 향유의 면모 / 김준형
조선후기 여성의 어문생활과 고전소설 / 이지하
조선후기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신불(信拂)과 사암(寺庵)의 기능 / 김승호
고소설의 풍류와 풍속도의 관계 / 김진영
제3부 고소설과 근대성
매체와 서사의 연관성으로 본 19세기 대중소설 시장의 성격 / 주형예
회동서관의 활자본 고전소설간행 양상 / 엄태웅
신작 구소설의 근대성 - 〈채봉감별곡〉·〈청년회심곡〉·〈부용상사곡〉을 대상으로 / 이정원
『대한유학생회학보(大韓留學生會學報)』에 게재한 한문산문 연구 / 조상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