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의 미심쩍은 부분에 질문을 던지며 새로운 관계와 연대를 상상하는 사회학 에세이가 출간되었다. 저자는 우리에게 친숙한 동화 속 주인공들에 빗대어 현대인이 가지고 있는 결핍, 관계의 부족, 상상과 일탈, 연대, 우정 등을 이야기한다.
목차
머리말
제1장 관용의 마을 우리에겐 싫어할 이유가 충분한 이를 싫어할 권리가 있다 | 여우와 두루미 소년은 왜 거짓말을 했을까 | 늑대와 양치기 소년 사람이 된 피노키오는 행복했을까 | 피노키오 튼튼한 집만 좋은 집일까 | 아기 돼지 삼형제
제2장 일탈의 마을 불공정한 규칙을 조롱하라 | 토끼와 거북이 우리는 샛길을 택한 이들에게 빚지고 산다 | 빨간 모자 소녀 거위의 배를 갈랐으니 얼마나 다행인가 | 황금알을 낳는 거위 분홍신을 탐한 것이 뭐 어때서 | 분홍신 한철 노래하며 사는 인생도 있어야 하지 않을까 | 개미와 베짱이
제3장 지혜의 마을 백설공주는 왜 자꾸 문을 열어 줄까 | 백설공주 왕비는 왜 자꾸 거울을 보았을까 | 백설공주 왕자는 왜 구두로 신데렐라를 찾았을까 | 신데렐라 이불 공주는 누가 깨울까 | 잠자는 숲 속의 공주 그녀는 누구를 위해 머리카락을 기르는가 | 라푼젤 미녀는 왕자로 변한 야수를 사랑했을까 | 미녀와 야수
맺음말
서가브라우징
감정과 사회학2009 / 잭 바바렛 엮음 ; 박형신 옮김 / 이학사
감정의 거시사회학 : 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2007 / J.M. 바바렛 지음 ; 박형신 ; 정수남 옮김 / 일신사
방황하는 개인들의 사회2013 / 지그문트 바우만 지음 ; 홍지수 옮김 / 봄아필
방황하는 개인들의 사회2013 / 지그문트 바우만 지음 ; 홍지수 옮김 / 봄아필
호모 아만스, 치유를 위한 문학·사회심리학2017 / 필자: 박설호 / 울력
스피노자의 거미 : 자연에서 배우는 민주주의2019 / 지음: 박지형 / 이음
스피노자의 거미 : 자연에서 배우는 민주주의2019 / 지음: 박지형 / 이음
백설공주는 왜 자꾸 문을 열어 줄까 : 동화로 만나는 사회학2011 / 박현희 지음 / 뜨인돌출판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의 자기효능감2004 / 알베르트 반두라 편저 ; 윤운성 ; 정정옥 ; 가경신 공역 / 학지사
아이덴티티 : 공유된 정체성이 만드는 삶의 대전환 2024 / 지음: 제이 반 바벨 , 도미닉 패커 ; 옮김: 허선영 / 상상스퀘어
아이덴티티 : 공유된 정체성이 만드는 삶의 대전환 2024 / 지음: 제이 반 바벨 , 도미닉 패커 ; 옮김: 허선영 / 상상스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