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울리히 벡은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독일의 사회학자이다.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촉발된 과학기술 만능에 대한 경고로부터 그의 “위험사회”라는 개념은 올해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한 사고에도 그대로 적용될 만큼 그 영향력이 대단하다.
목차
논의의 현재적 기초: 유럽에서 우익 포퓰리즘의 창궐 서문
제1장 들어가기: 세계시민적 의도를 갖는 신비판이론 1. 세계정치의 메타게임 2. 구식 게임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 3. 지구적 세계시민사회의 대항권력 4. 국가의 형태 변화 5. 새로운 지구적 행위자인 테러집단 6. 인지된 문명위험이 갖는 정치권력 7. ‘게임 주체’는 누구인가 8. 정당성의 패러다임 변동 9. 눈먼 경험연구? 10. 세계시민적 의도를 갖는 신비판이론 11. 사회불평등에 관한 신비판이론
제2장 일국적 관점 비판 1. ‘세계시민’(코스모폴리턴)은 ‘세계’(코스모스)의 시민인 동시에 ‘국가’(폴리스)의 시민이다 2. 공적 세계란 문명이 선택한 혼란스러운 결과라고 인식되는 모든 것이다 3. 공동체주의의 신화 4. 방법론적 일국주의는 오류의 원천이다
제3장 규칙변동을 일으키는 세계 내부정치: 경제, 정치, 사회의 경계탈피 1. 세계경제의 메타권력 1) 세계경제의 메타권력은 기습적 폭력과 폭력의존성을 창출한다 2) 평화주의적ㆍ세계시민적 자본주의? 2. 지구적 시민사회의 메타권력 3. 초법적 지배 4. 신자유주의 체제 5. 세계화 문제와 국지적 문제의 변증법 또는 국민국가정치의 정당화 위기 6. 국적 붕괴 7. 초국적 감시국가와 초국적 요새국가 8. 세계시민국가 9. 세계시민주의 국가의 지역화 10. 금융위험과 문명위험의 권력 불균형 11. 위험문제는 권력문제이다 12. 유럽과 비유럽의 형세들 13. 세계시민적 현실주의
제4장 세계화 시대의 권력과 대항권력: 자본전략들 1. 세계경제의 세계정치 1) 자본의 자기정당화? 2) 자본전략들의 개요 2. 자주경제와 선제적 지배 사이의 자본전략들 1) 자주경제전략 (1) 강탈전략 (2) 혁신전략 (3) 지구적 현지화 전략 (4) 투자회피권력의 전략 (5) 경제주권전략 2) 대체화 전략 3) 독점화 전략 (1) 경제적 합리성 독점화 전략 (2) 경제 간 외교전략 4) 선제적 지배전략 (1) 깡패국가전략 (2) 국가 신자유주의화 전략
제5장 재민족화와 초국화 사이의 국가전략들 1. 포기 불가능 전략 1) 국가탈공간화 전략 2) 거대정치전략 2. 대체 불가능 전략 1) 초국적 관할능력전략 2) 시계경제적 합리성의 탈독점화 전략 3. 세계시장 독점회피전략 4. 국가 간 경쟁축소전략 1) 국가특성화 전략 (1) 사민주의 합의전략 (2) 저임금전략 (3) 조세천국전략 2) 헤게모니 전략 3) 추국화 전략 (1) 경제적 합리성 (2) 전략적 합리성 (3) 정치적 합리성 5. 정치의 재정치화 전략 1) 지구적 문제를 지구적으로 해결 2) 다차원적 연합전략 3) 지구적 위험대응전략 4) 일국적인 것의 세계시민화 5) 지구적 뉴딜 전략 6. 국가세계시민화 전략 1) 국내외 정치망 형성전략 2) 상호승리전략 3) 법의 세계시민화 전략 4) 다양성의 국가적 보장으로 창조성 개발 5) 지역적 세계시민화 6) 민족주의의 순수성 상실 7) 세계시민적 유럽? 8) 권력 확대재생산 장치로서의 세계시민주의 9) 인권이라는 전략 제6장 시민사회운동의 전략들 1. 정당화 자본과 그것의 전이 불가능성 2. 위험 드라마 구성전략 3. 민주화 전략 4. 세계시민화 전략
제7장 승자는 누구?: 제2근대성에서 국가와 정치의 개념과 형태 변화에 대하여 1. 정치종말이며, 안녕 2. 인류가 인류에게 늑대가 됨: 글로벌 위험사회에 맞게 토머스 홉스 고쳐 쓰 기 3. 제2근대성의 국가형태들 1) 종족국가 2) 신자유주의 국가 3) 초국적 국가 4) 국가세계의 다양화 4. 지구적 위험인식으로 신자유주의 국가의 이상향이 설득력을 잃음 5. 좌ㆍ우 당간: 제2근대성에서 정치의 개념과 형태 변화에 대하여 1) 일국적 세계시민정당들 2) 좌ㆍ우의 다양화 3) 세계시민적 좌파의 대항권력 6. 잃어버린 상상력을 찾아서 1) 어떤 개념의 정치를 말하는가 2) 그렇다면 이론이란 무엇을 말하는 개념인가
제8장 세계시민시대의 요람에 바치는 짤막한 조문 1. 날개를 단 뿌리: 경쟁개념에 준거해서 본 세계시민주의 1) 보편주의와 세계시민주의 2) 다문화주의와 세계시민주의 2. 세계화에 저항함으로써 세계화가 가속화ㆍ정당화된다 3. 세계화는 반대자와 역설적 동맹을 맺어 전진한다 4. 세계시민적 전제주의 정치: 민주주의 대신 인류의 자체 위험성 5. 자기정당화가 민주주의를 대신한다
옮긴이 해제 울리히 벡과의 대담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오목한 미래 : 앞으로 10년, 블루홀보다 달콤한 시장은 없다2009 / 배일한 지음 / 갤리온
오목한 미래 : 앞으로 10년, 블루홀보다 달콤한 시장은 없다2009 / 배일한 지음 / 갤리온
가치는 어디로 가는가? : 유네스코, 21세기의 대화 ; 세계의 지성 49인에게 묻다2008 / 엮은이: 제롬 뱅데 ; 옮긴이: 이선희 ; 주재형 / 문학과지성사
미래의 역습, 낯선 세상이 온다 : 미 대통령에게만 보고된 2030 세계 대변혁 시나리오2015 / 지음: 매튜 버로스 ; 옮김: 이미숙 / 비즈니스북스
미래의 역습, 낯선 세상이 온다 : 미 대통령에게만 보고된 2030 세계 대변혁 시나리오2015 / 매튜 버로스 지음 ; 이미숙 옮김 / 비즈니스북스
뉴머러티 : 데이터로 세상을 지배하는 사람들2010 / 스티븐 베이커 지음 ; 이창희 옮김 / 세종서적
뉴머러티 : 데이터로 세상을 지배하는 사람들2010 / 스티븐 베이커 지음 ; 이창희 옮김 / 세종서적
세계화 시대의 권력과 대항권력 : 새로운 세계정치경제2011 / 울리히 벡 지음 ; 홍찬숙 옮김 /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