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고서의 개념, 동양문헌을 다루기에 적합한 고서의 분류법과 목록, 고서 분류·목록의 실례 등 컴퓨터로 고문헌을 처리할 수 있는 고서 목록의 이론과 실제를 다루었다. 1996년 출간된 <고문헌의 조직과 정보운용>의 개정판으로, 이후 기술과 제도상의 변화를 충실히 반영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1. 고서의 개념
2. 고서의 분류
2.1 동양의 문헌분류체계
2.1.1 칠분법
2.1.2 사분법
2.1.3 십진분류법
2.2 사부분류와 KDC
2.2.1 『사고전서총목』의 경부 항목
2.2.2 『사고전서총목』과 『한국십진분류법』과의 경부 비교
2.2.3 『사고전서총목』의 사부 항목
2.2.4 『사고전서총목』과 『한국십진분류법』과의 사부 비교
2.2.5 『사고전서총목』의 자부 항목
2.2.6 『사고전서총목』과 『한국십진분류법』의 자부 비교
2.2.7 『사고전서총목』의 집부 항목
2.2.8 『사고전서총목』과 『한국십진분류법』과의 집부 비교
3. 고서의 목록
3.1 목록의 개념 및 동양에서의 발전
3.2 ISBD와 MARC
3.2.1 ISBD
3.2.2 MARC
3.3 한국문헌자동화목록기술규칙 및 형식 : 고서용의 제정
3.4 고서기술규칙
3.4.1 서칙
3.4.2 서지기술영역
3.4.3 표목의 선정
3.5 고서목록형식
3.5.1 리더(Leader)
3.5.2 디렉토리(Directory)
3.5.3 가변길이필드(Variable Fields)
5. 고서 분류ㆍ목록의 실례
4.1 서명사항
4.2 저자사항
4.3 판사항
4.4 간사사항
4.5 형태사항
4.6 주기사항
ㆍ참고문헌
ㆍ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