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조선시대 정치, 사회, 문화의 사건과 풍경들을 60갑자의 틀 속에 담아낸 '조선평전'. 조선시대 역사의 진면목들을 흥미롭게 펼쳐내면서도, 한편으로는 현재와 대화하는 방식으로 서술했다. 이미 여러 권의 대중 역사서를 집필한 저자는 "역사는 박물관 속에 갇혀 있을 때보다 이를 되살려내 현재화시킬 때 의미가 있다"고 보고 조선시대 역사의 전면적 현대화를 이 책을 통해 실천하고 있다.
목차
甲 조선은 어떤 나라인가
一. 법치의 틀 잡은 조선의 헌법 『경국대전』
二. 옛사람들의 새해 풍속도
三. 조선시대 신입관리 신고식
四. 조선시대 과거시험 열기 속으로
五. 『조선왕조실록』 보존의 지혜
六. 단 한 명을 위한 축제, 왕세자의 입학식
乙 조선을 조선답게 만든 위대한 풍경들
一. 세종대왕 시대를 더욱 빛나게 하는 유산들
二. 신숙주의 일본 기행문 『해동제국기』
三. 국제 감각 돋보인 서희와 광해군의 외교
四. 영조와 정순왕후의 혼례식
五. 간송미술관에서 만나는 겸재의 예술혼
六. 조선의 탁월한 기록유산들
丙 조선의 농촌과 도시, 그리고 밑바닥 삶
一. 으뜸 재산 노비, 그들이 도망간 까닭
二. 옛사람들의 운동과 놀이
三. 백제의 수도, 조선의 수도 서울의 역사
四. 선비의 손자사랑-이문건의 『양아록』
五. 조선인들의 여름나기
六. 『토정비결』에 숨은 뜻은?
丁 조선을 뒤흔든 위기의 순간들
一. 조선 역사의 흐름을 바꾼 계유정난
二. 조선왕조의 사라진 2인자들
三. 뿌리 깊은 정쟁의 시작, 동서 분당
四. 옛 문헌에 나타난 한반도의 지진
五. 조선을 휩쓴 전염병의 공포
六. 태조의 무덤이 동쪽으로 간 까닭은?
戊 변화하려 했으나 좌절하다
一. 광해군의 교하천도론
二. 1506년, 중종반정이 일어나다
三. 1623년, 서인들의 쿠데타
四. 조선시대 태안반도에 물길공사 왜?
五. 420년 전 조선 뒤흔든 정여립 역모 사건
六. 불후의 고전 명작 『춘향전』 뒤집어 읽기
己 조선의 은밀하고 신비로운 이야기들
一. 조선시대의 온천
二. 조선 국왕의 식성과 식단
三. 조선에 전래된 고구마·감자 이야기
四. 실록에 등장하는 코끼리, 낙타, 호랑이 이야기
五. ‘바람의 화원들’은 어떤 그림을 그렸을까
六. 영조·정조의 새해맞이
庚 조선을 뒤덮은 재난들
一. 『난중일기』로 되살아난 이순신
二. 한 편의 그림으로 남겨진 임진왜란
三. 임진왜란의 생생한 증언, 『쇄미록』
四. 최초의 의병장 곽재우
五. 삼전도의 굴욕
六. 서울 성곽의 역사와 그 흔적들
辛 조선 사회의 저력
一. 세계로 소통하는 문, 조선시대의 외국어 학습
二. 인재 활용 돋보인 세종 시대
三. 기녀 출신 거상 김만덕
四. 조선시대 화폐 이야기
五. 우리 역사와 함께 한 소 이야기
六. 우리 역사가 된 귀화인 이야기
壬 변혁의 시대를 담다
一. 서얼들의 신분상승 운동
二. 덕수궁과 대한제국 그리고 덕혜옹주
三. 옛사람들의 활쏘기
四. 잃어버린 문화재 외규장각 의궤
五. 박지원의 『열하일기』
六. 조선을 움직인 10대 뉴스
癸 역사의 의미
一. 역사 속 지도자들의 마지막 모습
二. 왕릉으로 본 행복한 왕, 불행한 왕
三. 조선시대 종친들의 삶
四. 기록문화의 꽃, 의궤
五. 조선 왕실 국장의 절차와 기록들
六. 광화문 광장 따라, 역사 물길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