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_재무회계의 개념적 이해
제1장 재무회계의 본질
제1절 재무회게의 목적과 역할
제2절 재무회계와 환경
제3절 회계기준의 제정
제4절 회계윤리
제2장 재무회계의 개념적 구조
제1절 재무보고와 재무제표의 목적
제2절 재무회계의 기본가정
제3절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
제4절 재무제표의 요소 및 요소의 인식과 측정 기준
제5절 재무제표의 구성과 표시 기준
제3장 재무상태표 및 현금흐름표
제1절 재무상태표
제2절 현금흐름표
제4장 포괄손익계산서 및 자본변동표
제1절 손익계산서
제2절 자본변동표
제5장 이익개념
제1절 이익개념의 다양성
제2절 회계 이익
제3절 경제 이익
제6장 수익인식
제1절 수익인식기준
제2절 매출수익거래의 인식시기
제3절 건설계약의 수익인식
제2편_자산
제7장 현금 및 수취채권과 대여금
제1절 현금
제2절 수취채권과 대여금
제8장 재고자산
제1절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
제2절 재고자산의 평가
제9장 재고자산의 평가(역사원가주의 수정)
제1절 역사원가주의 외의 재고자산 평가방법
제2절 재고자산원가의 측정
제10장 유형자산의 취득과 처분
제1절 유형자산의 최초 취득 시 인식과 측정
제2절 자가건설자산
제3절 유형자산의 재평가
제4절 유형자산의 손상
제5절 수익적 지출과 자본적 지출
제6절 유형자산의 제거와 처분
제11장 무형자산
제1절 무형자산의 인식
제2절 무형자산의 최초 측정
제3절 무형자산의 재평가, 손상차손 및 상각
제4절 식별가능 무형자산
제5절 영업권 : 식별불능 무형자산
제12장 감가상각과 감모상각
제1절 감가상각
제2절 감모상각
제13장 금융상품인 유가증권
제1절 금융상품의 인식과 측정
제2절 지분상품인 금융자산
제3절 채무증권
제4절 금융자산의 손상 및 분류변경
제3편_부채 및 자본
제14장 유동부채
제1절 유동부채
제2절 충당부채의 측정, 변제, 변동, 변경 등
제3절 외화환산
제4절 위험회피와 파생상품
제15장 비유동부채
제1절 사채(社債)
제2절 장기차입금(어음)과 장기성지급어음
제3절 채권·채무의 조정
제4절 부외부채
제16장 주주지분 : 소유주출연자본금
제1절 자본의 정의
제2절 주식의 종류
제3절 주식발행
제4절 자기주식
제17장 주주지분 : 이익잉여금
제1절 이익잉여금과 배당
제2절 주식분할
제3절 이익잉여금의 유보 및 제약 :적립금
제4절 기타의 고려사항
제18장 전환증권과 주당이익
제1절 전환증권
제2절 주당이익
제4편_현금흐름표 및 기타
제19장 현금흐름표
제1절 현금흐름표의 기본개념
제2절 현금흐름표의 작성
제3절 현금흐름표의 작성과정
제20장 종업원급여
제1절 종업원급여
제2절 단기종업원급여
제3절 퇴직급여 : 확정기여제도와 확정급여제도
제4절 기타장기성종업원급여 및 해고급여
제21장 리스
제1절 리스의 자본화
제2절 리스이용자의 리스회계처리
제3절 리스제공자의 리스회계처리
제4절 리스회계처리의 기타 고려 사항들
제22장 이연법인세
제1절 이연법인세의 개념
제2절 이연법인세의 회계처리
제3절 법인세의 주석공시
제23장 회계변경과 오류수정
제1절 회계변경
제2절 회계오류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