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바야흐로, 사랑의 계절 봄이다. 한국인에게 짝짓기란, 사랑이란 무엇인가? 김열규 교수가 ‘한국인이란 누구인가’를 남녀 간의 ‘사랑’으로 풀어본다. 까마득한 근대와 신화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 고려가요, <삼국사기>, 설화, 전설, 동화, 그림 등 한국인의 사랑부터 짝짓기와 혼례, 남녀 관계 및 생활과 관련된 모든 것을 망라해 펼쳐 보인다.
목차
프롤로그│남녀 관계, 그 그물 같은 것
첫째 대목│ 한국의 남과 여
1: 그 성가시고 수수께끼투성이인
알록달록 남녀 관계
안과 바깥, 아내와 남편
하늘과 땅 사이: 사내는 밭 갈고 여자는 밭으로 그의 정자를 받고
밭갈이와 아기 갖기
2: 남녀, 여전히 알 수 없는 관계
남은 주고 여는 부
도깨비 이야기의 페미니즘
여자 귀신은 남자가 낳았다
3: 안방 다르고 사랑방 다르듯, 남녀 관계도
그 하고많은 대조, 대비
또 다른, 하고많은 남녀 간 대비들
천지의조화, 우주의 화음 같은 것
4: 신호와 전설이 말하는 남과 여
하늘과 땅, 하늘과 물
곰이 상징하는 모성 원리
백제의 아내와 신라 약혼녀의 사랑
5: 여성이란 것- 그 근본적인 물음
한국 여성의 성, 그 초입을 위한 몇 마디:'제1.5의 성'
한국 여성의 신화적인 삼대 수수께끼
입의 기형녀들
최초의 '제2의 성'
한국인의 여성적 감성
한스러움이라는 감성
둘째대목│ 짝짓기와 혼례
1: 결혼이란 것, 혼사라는 것
인륜대사라는 그 말의 무게는 어디로
혼사 이야기: 역전극의 진상
한국인의 전통 혼례: 그 모순된 두 얼굴
혼례 절차의 큰 줄거리
2: 짝짓기의 위대한 서사시
상고대의 혼인 현장으로
하늘이 정해준 짝: 천정배필의 으뜸
신부 마중의 화려한 축제
결혼이 국가적 기념행사로
신부를 채가다니, 그것도 정식 혼례 절차로서
싸워서 얻어낸 전리품의 신부
일편단심사랑: 신라 적에도 한 번 다진 사랑은 영원히
셋째 대목│ 또 다른 짝짓기 이야기: 그 기묘함, 그 야릇함
1: 그 많은 합은?
둘이 하나가 되다니?
사고파는 겨혼식
갈등 빚기의 혼례
결혼의 난장판
바보 사위, 멍청이 신랑
혼쭐나는 신랑들
2: 그 엄청난 신분의 차이에도
바보가 공주를아내로 얻다니?
트릭스터 신랑
꾀보 신랑
마장수 총각이 공주에게 장가들다니?
황금 폐백 가지고 시집간 공주
서동, 온달, 탈해, 나무꾼이나 모두 그렇고 그런 신랑
3: 황당하고도 간절한 것
허구에 진실이 담긴 짝짓기
사실혼과 합법혼
두 번 장가가는 신랑
혼례라는 연극에서
신랑 자격 얻기
예식이자 축제인 혼례
넷째 대목│ 사랑, 그 만다라의 얼굴
1: 사랑은 강물 같은 것, 흘러서 가는 것
오락가락하던 다리, 바로 그 다리에서
흘러가기에 비로소 돌아오는 것
2: 혼례 현장에서
난데없는 이 아우성은?
화촉에 불 밝히지 못한 채, 손끝 떨리던 어느 신부 어머니
손 떨림의 사뭇 오래된 사연
3: 한국인의 연정: 타오르는 불길
불타는 정염
절기와 사랑
절묘한 우원법의 비가
4: 돌 던지는 사랑의 노래
사랑이란 별난 것
던져서 맞히는 사랑
구슬과 잘 익는 과일 던지기의 사랑
5: 청춘, 그 아름다운 파토스의 사랑
6: 남자 나비, 여자 꽃: 나는 꽃이 아냐! 함정이야, 사내들아!
7: 소리에 걸린 사랑
시는 소리로: <정석가>에서
그 무수한 소리며 의미의 듀얼리즘
사랑의 아이러니
<청산별곡>, 그 소리의 미학
8: 동동, 그 사랑의 노래
그 다양, 다색, 다조의 노래
덕으로 익을 사랑
왜 사랑에 덕인가?
받는 사랑 아닌 주는 사랑
9: 사랑의 종교
10: 사랑, 그 부활의 기적
사랑에의 초대
자상과 타상 사이
꺽어진 멧버들, 그 하찮은 것의 큰 의미
11: 사랑의 희비극
사랑, 그 듀얼리즘
희비극과 비희극 사이
사랑의 장엄미
서정성이 돋운 비극미
에필로그│또 다른 눈짓, 귀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