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글머리에
1장_ 천문학의 태동과 발달
왜 인류는 밤하늘을 바라보게 되었을까?
자연의 리듬과 천체의 변화
천문학이 지구와 태양계에 대한 생각을 바꾸다
멀리 볼 수 있는 도구 - 망원경
갈릴레오의 망원경으로 바라본 항성
천체에 만유인력의 법칙을 적용한 뉴턴
천체망원경의 제작
천체의 위치를 결정하다
새로운 행성의 위치를 예견하다
천체의 사진을 찍기 시작하다
이중별(연성)은 어떤 별일까?
태양계를 넘어서
은하계는 누가 발견하였나?
소용돌이 성운이라는 것을 어떻게 알게 되었을까?
항성까지의 거리는 어떻게 측정할까?
사진이 천문학에 활용된 것은 언제였을까?
2장_ 보이지 않는 우주에 대한 발견
우주에서 전파가 오고 있다
잰스키의 실험
은하에서 방출되는 전파
레버의 전파 망원경
전파로 하늘의 지도를 그리다
계속 발견되는 전파 은하
전파은하의 정체
은하의 충돌
3장_ 전파망원경이라는 안경의 출현
보이지 않던 우주의 모습을 보여준 전파망원경
전파망원경의 원리
전자기파 방출이란?
주파수와 파장
전자기파의 전파(傳播) 원리
전자기파 스펙트럼
편파(polarized wave)
전자기파 복사의 메커니즘
열복사의 원리
흑체의 특성
이온화된 기체에서 발생되는 연속적 방출
원자와 분자에서의 스펙트럼 선 방출
비열적 복사의 메커니즘-싱크로트론 복사(Synchrotron Radiation)
메이저(Masers)
4장_ 전파천문학 - 매개체(media)의 영향
매개체의 역할
대기의 창(Atmospheric windows)
흡수선과 방출선
반사
굴절
위상(Phase)
섬광(Scintillation)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
열적 전파와 비열적 전파
중력적 적색이동(gravitational red shifting)
중력렌즈(gravitational lensing)
초광속 속력(Superluminal velocity)
엄폐(Occulation)
5장_ 새로운 수수께끼의 발견 - 항성 전파원의 출현
발견의 60년대
퀘이사란 무엇일까?
퀘이사 발견 전야
퀘이사의 이상한 모습들
천체의 스펙트럼
우리은하의 스펙트럼
퀘이사의 스펙트럼 분석
드디어 해법을 찾다
적색이동과 관련된 논쟁과 그 결말
큰 적색이동 현상의 의미는?
충돌하는 은하로부터 형성된 퀘이사
의심스러운 점들
스피처 우주 망원경에 탑재된 장비
퀘이사를 통해 우주의 대구조를 발견하다
10만개의 퀘이사 탐사계획
6장_ 우주 제트와 항성 전파원
수수께끼의 천문현상 - 우주 제트
서서히 밝혀지는 전파 제트의 구조
대규모 간섭계의 등장
간섭계로 바라 본 전파 제트
초광속(Superluminal Velocity) 현상
전파 제트 에너지의 근원을 찾아서
제트에너지원의 블랙홀 모형
7장_ 활동은하의 중심모델 - 에너지는 어디서 오는가?
퀘이사 - 에너지의 신비
강착원반의 원리
초신성(Supernova) - 활동은하의 중심모델 1
초신성폭발에 대한 관측 자료
초신성 폭발과 소멸 과정
펄서
초거대 블랙홀 - 활동은하의 중심모델 2
블랙홀의 종류
은하수 중심에 존재하는 블랙홀의 증거
8장_ 우주를 보는 X-선 위성 - 활동은하는 어떻게 관측되는가?
우주 X-선원의 발견
X선 관측정보
X-선의 방출원리
할 일 많은 X선 천문학
블랙홀의 존재를 증명하는 증거
9장_ 은하 중력 에너지원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 은하블랙홀과 강착원반(降着圓盤)
은하 충돌설과 블랙홀의 연료
은하 충돌설의 재등장
전파제트의 정체
활동은하의 여러 모습들
블랙홀의 질량과 가스 강착률
블랙홀의 등장이 갖는 의미
은하 블랙홀 저편
X선 위성이 관측한 최신자료
설명되지 않던 고리를 찾다
10장_ 천문관측 및 연구 발전사